직장인들에게 최후의 보루로 여겨지는 ‘퇴직연금’을 무조건 믿어서는 안될 듯하다. 올 들어 수익률이 급락한데다 일부 운용사의 경우 원금마저 까먹는 사태까지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퇴직연금의 1~3분기 수익률은 확정급여형(DB형) 원리금보장상품을 기준으로 2.7~3.0% 수준에 머물고 있다. DB형 원리금보장상품은 가입자가 가장 많은 상품이다.
현재 추세라면 연말까지 퇴직연금의 수익률이 3%대에 머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지난해 퇴직연금의 수익률이 4%대 후반에서 5%를 넘겼던 것을 감안할 때 올 들어 수익률은 큰 폭으로 떨어진 셈이다. 예컨대 연간 1,000만원을 적립할 경우 지난해 50만원가량 수익을 얻었다면 올해는 30만원 정도로 줄어들게 된다. 더구나 올 3분기 들어 분기별 수익률이 1% 아래로 일제히 하락해 퇴직연금의 수익률 하락이 가속화되고 있다.
퇴직연금의 수익률은 대체로 증권사가 높게 제시한 반면 보험사는 낮게 제시한다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은행권은 증권사와 보험사 중간 수준으로 제시했다. 올 1~3분기 기준으로 미래에셋증권(3.02%)과 한국투자증권(3.01%)은 DB형 원리금보장상품 수익률을 3% 넘게 약속했다. 이에 반해 삼성화재(2.76%), 교보생명(2.89%) 등 보험사들은 2.7~2.8%의 수익률을 약속하는 데 그쳤다. 가입자가 가장 많은 은행권에서는 하나은행(2.92%), 신한은행, 국민은행(2.90%), 우리은행(2.87%) 순으로 나타났다.
수익률이 전반적으로 하락한 것은 저금리 기조가 원인으로 지목된다. 퇴직연금 수익률은 국고채나 회사채 수익률 같은 지표금리에 자체 자산운용 예상수익률을 붙여 제시되는데, 저금리 기조로 지표금리가 하락해 수익률도 낮게 제시되고 있다.
일부 실적연동형 상품은 수익률이 ‘-‘로 나타나 원금 손실이 우려되고 있다. 원리금을 보장하지 않는 DB형 상품 중에서 HMC투자증권은 -0.82%를 기록했으며, 우리은행의 수익률 또한 0.86%에 불과해 사실상 ‘O’에 가까웠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퇴직연금의 수익률을 높게 제시했다고 무조건 좋은 상품으로 여겨서는 안 된다고 조언한다. 수익률이 높아질수록 위험성 또한 커지기 때문이다. 일부 금융사의 경우 일단 가입자를 늘리려는 속셈으로 역마진을 감수하고 높은 수익률을 약속하고 있기 때문이다.
퇴직연금은 DB형을 중심으로 확정기여형(DC형), 개인퇴직계좌(IRP)를 포함해 올 9월 말 기준 약 72조원가량이 적립됐다. 23만6,000개 기업의 직장인 464만명이 가입해 도입률은 사업장 기준 14.5%, 상용근로자 기준 45.6%로 이르고 있다. 박진우기자
한국스포츠 박진우기자 jwpark@hksp.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