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가 2018평창동계올림픽 폐막 이후 경기장 사후 관리 등을 맡아 운영할 국민체육진흥공단 설립을 주장해 주목된다. 대회 이후 경기장을 직접 관리할 경우 막대한 적자가 예상돼 일찌감치 정부에 고통분담을 요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도는 정치권과 공조해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지원 등에 관한 특별법' 개정을 추진하겠다고 17일 밝혔다.
개정안에는 평창동계올림픽기념 국민체육진흥공단 설립을 비롯해 ▲지자체 발행 지방채 국가 인수 ▲문화관광올림픽 특별회계 설치 ▲올림픽특구 내 민자유치를 위한 부담금 감면 등 적자를 최소화하기 위한 조항이 담겨 있다.
이 가운데 핵심은 '평창동계올림픽기념 국민체육진흥공단' 설립. 1988년 서울올림픽처럼 대회 수익금으로 공단을 설립한 뒤, 사후 관리를 전담토록 해야 한다는 논리다.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의 사후관리 문제는 그 동안 문제의 심각성이 제대로 논의되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올림픽 유치 당시 30조원 대 경제효과만 띄웠을 뿐, 축제가 끝난 뒤 수천억 원을 들여 건설한 경기장이 애물단지로 전락할 수도 있다는 지적은 애써 외면했던 측면이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실제 동계올림픽 경기장 가운데 알펜시아 슬라이딩(썰매) 종목과 강릉 피겨ㆍ쇼트트랙 경기장은 수익이 거의 없고 막대한 운영 및 관리비 부담만 지자체가 떠안게 될 공산이 크다.
해외사례를 봐도 동계올림픽 경기장 사후관리에 애를 먹고 있다. 평창 조직위가 롤 모델로 삼고 있는 미국 레이크 플래시드 슬라이딩 경기장조차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06년 동계올림픽을 개최한 이탈리아 토리노는 운영비 문제로 지난해 말 시 정부에서 트랙을 폐쇄하는 사태까지 빚어졌다.
하지만 이에 대해 정부는 여전히 형평성 등을 문제로 부정적인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어 실현 가능성은 불투명 하다.
도내 체육계의 한 인사는 "올림픽 이후 정부에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경기장 시설관리를 떠 맡아 달라고 요구하는 것은 곤란하다"며 "체육대학 캠퍼스를 유치하는 등 동계스포츠 저변을 늘리는 작업이 함께 이뤄져야 정부를 설득할 수 있을 것"고 지적했다.
박은성기자 esp7@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