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이 선거 및 홍보수단으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적극 활용하면서 당원 및 지지체 관계자들이 친구수 늘리기는 물론 찬양 글쓰기 경쟁에 억지 동원되고 있다.
최근 경북 A지역 새누리당 당원협의회에는 때아닌 비상이 걸렸다. 다른 지역 당원협의회 보다 밴드와 카카오그룹 가입회원이 적다는 이유에서다. 이 곳을 포함 몇 개의 지자체가 한 국회의원의 지역구로 묶여있다 보니 다른 당원협의회와 자연스레 비교가 됐던 것이다. 이 때문에 최근 들어 이 지역은 당원 확장 캠페인은 고사하고 SNS 회원 확장이 지상과제가 됐다.
B지역 새누리당 당원협의회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밴드 결성을 통해 사용자의 유대감과 친밀감을 극대화하자는 취지는 간데없고 해당 지역구 국회의원에 대한 과잉충성용 글쓰기만 난무하다는 전언이다. 이 지역 당원 C씨는 "국회의원 의정활동에 대한 찬양 글만 올라오고 정작 의원과의 소통은 없다"며 "하지만 의원이 밴드에 댓글은 안 올려도 한번씩 훑어보기는 한다 하니 이래저래 신경이 안 쓰일 수 없다"고 토로했다.
당원 D씨도 "지난해 대통령선거 때 새누리당 차원에서 당원협의회 또는 직능별로 밴드 만들기 과제가 내려왔었다"며 "그때는 선거운동 차원이었고 소정의 성과도 있었지만, 지금은 국회의원의 세 과시 용도로 전락, 당원들만 괴롭게 됐다"고 말했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자체 홍보관계자들도 SNS 때문에 괴롭긴 마찬가지다. 단체장의 활동상을 SNS를 통해 적극 홍보해야 하기 때문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등 개방형 SNS에서부터 아는 사람끼리만 소통하자는 밴드, 카카오그룹 등 폐쇄형 SNS까지 종류가 다양하다 보니 할 일도 그만큼 배가됐다.
한 지자체 홍보담당자는 "스마트폰이 일상화되다 보니 실시간으로 SNS 홍보활동을 해야 하고 댓글 등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며 "매일매일 눈길을 끌만한 글을 올리기 위해, 또 친구수를 늘리기 위해 머리를 짜내고 있다"고 호소했다.
이에 대해 모 정치홍보컨설턴트는 "정치인들의 SNS 활동을 잘못됐다고 탓할 수는 없지만 지나치게 홍보 및 정치적 세 과시 목적으로 접근할 때는 역효과를 낳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현주기자 larein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