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의 청와대 연설기획비서관 출신인 김경수 노무현재단 봉하사업본부장은 9일 삭제 논란을 빚고 있는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에 대해 "초안의 '표제부'만 삭제됐을 뿐 파일은 그대로 '이지원'에 남아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날 서초동 서울고검 기자실에서 간담회를 자청해 앞서 검찰이 '봉하 이지원'에서 대화록이 삭제된 흔적을 찾아 복구했다고 발표한 것에 대해 이같이 반박했다.
김 전 비서관은 "이지원은 파일 삭제가 불가능한 시스템"이라면서 "최종본을 올렸으니 초안의 표제어를 삭제한 것이고 파일은 그대로 남아있는데 검찰이 무엇을 복구했다는 것인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이지원'의 문서관리카드는 제목과 날짜, 작성자 등을 기록한 '표제부'와 보고 경위를 담은 '경로부', 기록물 유형 분류 등을 담은 '관리속성부'에 나뉘는데, 대통령기록물 이관 대상이 아닌 자료는 문서 제목이 들어 있는 표제부를 삭제해 청와대기록물관리시스템(RMS)으로 넘어가지 않게 했다는 것이다.
그는 "'봉하 이지원'은 청와대 '이지원'을 복사했기 때문에 대화록 초안도 당연히 표제부를 제외한 문서파일 등이 함께 복사됐을 것"이라며 "따라서 검찰은 삭제된 대화록을 '복구'한 게 아니라 표제부를 제외한 자료를 '발견'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대화록 외 100여개의 대통령기록물이 삭제됐다는 의혹도 사실무근이라고 일축했다. 전자문서를 RMS로 옮기는 과정에서 개인 메모 등 잡문서를 없앴을 뿐이라는 것이다.
김 전 비서관은 대화록이 국가기록원에는 공식 이관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모르겠다"며 답답해 했다. 그는 "2007년 7월부터 TF를 구성해 청와대 전 직원이 매달려서 8개월 동안 800만여 개의 전자파일을 대통령기록관에 이관하는 작업에 눈 코 뜰 새가 없었는데 왜 대화록만 이관되지 않았는지 우리도 모르겠다"며 "검찰 수사에 협조하기로 했으니 수사를 통해 확인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화록의 작성ㆍ관리ㆍ이관에 실무적으로 참여하고 '봉하 이지원' 구축에 관여했던 김 전 비서관은 15일 검찰 소환 조사를 앞두고 있다. 검찰은 이 같은 주장에 대해 "과학적 입증을 통해 수사 결과 발표 때 밝히겠다"고만 말했다.
김청환기자 ch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