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이 도로나 건물 등으로 덮여 빗물이 스며들지 못하는 불투수면이 전체 국토의 7.9%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막아 폭우 때 침수를 일으키는 불투수면은 1970년에 비해 2.63배 증가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6일 환경부에 따르면 지리정보시스템(GISㆍ지리정보공간을 디지털화)을 통해 불투수 면적률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전국 평균 불투수 면적은 전체 국토의 7.9%로 1970년(3%)에 비해 2.63배 증가했다. 과거에 비해 콘크리트 건물과 아스팔트 도로 등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하천과 임야를 제외하면 불투수 면적률은 22.4%로 올라간다.
불투수 면적률을 지자체별로 보면 경기 부천시가 61.7%로 가장 높았으며 서울(54.4%) 경기 수원시(49.3%) 전남 목포시(46.3%) 순이었다. 반면 건물이나 도로가 적은 강원 인제군, 화천군, 정선군은 1.8% 이내로 불투수면이 가장 적었다.
국내 물환경관리권역을 850개 소권역 유역으로 나눠 보면 서울 청계천 유역의 불투수 면적률이 71.5%로 가장 높았고 인천 공촌천(67.3%) 서울 안양천(66.5%) 순이었다.
환경부 관계자는 "불투수면이 늘어나면 홍수 때 도시 침수를 일으키고 지하수가 고갈되는 문제가 있다"며 "선진국에서는 건축물의 불투수 면적에 비례해 요금을 부과하는 '빗물요금제'를 시행하기도 하는데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정승임기자 choni@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