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30일 항명사태를 빚은 진영 보건복지부 장관의 사표를 수리하면서도 이를 계기로 점화된 새 정부의 첫 개각 가능성에는 선을 그었다. 복지부 장관 사퇴로 인사 요인이 발생함에 따라 국정 운영을 쇄신하는 차원에서 일부 장관들의 교체 가능성이 제기됐으나, 청와대가 분위기 쇄신 보다는 현 내각 체제 안정화에 무게를 둔 것으로 보인다.
최근 청와대 주변에선 중폭의 개각 가능성이 대두된 것은 우선 각종 사태로 고위직 공석이 적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당장 사퇴 과정에서'청와대 배후 개입설' 논란을 빚은 감사원장과 검찰총장이 공석이며 비리 혹은 중립성 논란으로 문화부 제2차관과 4대강조사평가위원장도 자리에서 물러나 후임 인선이 급하다.
이 같은 상황에서 최근 동시다발적으로 터져 나온 국정 혼란을 수습하기 위해 다른 부처 장관들의 교체 필요성도 제기되면서 개각설이 힘을 얻었다. 채동욱 검찰총장 사태로 지휘권에 흠집이 생긴 황교안 법무장관, 복지공약 수정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는 현오석 경제부총리, 창조경제에 대해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한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자격 시비가 끊이지 않는 윤진숙 해양수산부 장관 등의 이름이 거론됐고, 김관진 국방부 장관도 김병관 장관 후보자가 인사청문회를 넘지 못해 유임된 터라 교체 대상으로 지목돼왔다.
하지만, 청와대 이정현 홍보수석은 이날 일각에서 제기된 개각설에 대해 "분명하게 개각은 없다"고 못을 박았다. 이는 당장 정기 국회에서 각종 법안 처리가 시급한 상황에서 내각을 흔들기 보다는 기존 체제로 정기국회 국정 감사와 입법 과정을 마무리하는 것이 낫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자칫 개각을 단행했다가 기존에 수립한 정책의 혼란만 가중시킬 수도 있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능력과 도덕성을 겸비한 최적의 인사를 찾는 일이 쉽지 않다는 것도 청와대가 개각을 망설이는 이유다. 임기 초에 경험한 대로 또 다시 인사 실패가 발생하면 박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국민의 실망감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질 수 있다.
하지만 여권 내부에서는 "개각은 시간 문제"라는 시각은 여전하다. 시기적으로는 개각이 다소 어렵긴 하지만, 국정 운영을 쇄신하기 위해서는 개각의 필요성이 그만큼 크다는 얘기다.
한편 복지부 장관 후보로 조직의 안정성을 위해 복지부 차관 출신인 강윤구 심평원장, 전 청와대 고용복지수석인 노연홍 가천대 부총장이 물망에 오르는 가운데 이혜훈 세누리당 최고위원과 안종범 의원도 거론되고 있다.
송용창기자 hermeet@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