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동참모본부의장에 최윤희 해군참모총장이 내정됐다. 창군 이래 해군 출신으로는 처음, 1993년 이양호 공군참모총장 이래 두 번째 비(非)육군 출신이다. 그 정도로 단단하게 굳어져 온 육군 중심의 합참운영이 조금이라도 유연해지고, 육ㆍ해ㆍ공군의 균형된 발전으로 이른바 '합동성'이 강화되는 계기로 삼을 만하다.
3면이 바다인 데다 남북으로 길게 발달한 국토의 지리적 조건에 비추어 지상군 중심의 안보 전략ㆍ전술이 갖는 한계는 이미 오래 전부터 널리 인식돼 왔다. 따라서 육군 중심의 군 지휘부 인사 관행에 대한 수정 논의도 잇따랐지만 좀처럼 실행되지 못했다. 군 통수권자이자 최종 인사권자인 대통령이 결단하지 않는 한 결국 기존 관행을 답습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최 총장의 합참의장 내정은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 육군 편중의 군 운영이 조금씩 바로잡히고, 3군의 고른 발전과 진정한 협력체제의 초석이 될 수 있길 기대한다. 특정 군의 상대적 발전이나 낙후가 아니라 국가 안보의 내실화를 염두에 둔다면 너무나 당연한 바람이다.
다만 이런 바람과 기대를 제대로 실현하기 위해 앞으로 최 합참의장 내정자가 넘어서야 할 걸림돌도 만만하지 않다. 20년 전 이양호 합참의장 발탁 실험이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한 것은 무엇보다 합참의장의 구심력보다 조직의 원심력이 컸기 때문이다. 육군 출신이 아닌 의장이 육군 출신이 압도적 다수를 이룬 합참 안에서 외딴 섬처럼 존재하는 한 극복하기 어려운 난제다. 평화시라면 합참의장의 군령권보다는 각군이 나눠가진 군정권, 즉 인사ㆍ행정권에 군 고위 지휘관의 눈길이 쏠리게 마련이다.
해군 출신의 최 내정자가 맡겨진 소임을 다하기 위해서는 스스로가 확고한 무게중심을 갖고 3군을 아우를 지도력을 발휘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개연성이 지적된 '인사 장벽' 등은 미리 제거해 주려는 정부의 배려도 중요하다. 그래야 육군 출신을 국가안보실장과 국방부장관, 국정원장 등에 앉힌 인사편중을 실질적으로 시정하고, 모처럼의 인사 결단이 제 빛을 발하게 할 수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