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대도시 주변에 2015년까지 9곳의 도시형 첨단산업단지를 만들고, 노후한 기존 산업단지들을 대대적으로 보수하기로 했다. 50년 전 구로공단 조성 이래 제조업을 이끌며 수출에 앞장섰던 산업단지는 그 동안 기반시설 노후화와 부가가치율 급락으로 입주기업들은 해외로 떠나고, 근로자들이 외면하면서 공동화 상태로 변하고 있다. 2001년부터 새로 조성된 도시형 첨단산업단지는 전국적으로 11개에 달하지만 효율성이 떨어져 현재 3곳만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새로운 도시형 첨단산업단지를 위해 정부가 내놓은 조치는 파격적이다. 그린벨트 해제와 용적률 확대, 녹지율 완화, 복합용지 허용에 분양가까지 인하하고 나선 것은 지방의 벤처기업들도 관심을 가질 만하다. 아울러 이들을 산학연(産學硏) 클러스터로 발전시키기 위해 첨단산업 유치는 물론 대학이나 연구개발(R&D)시설, 연구ㆍ문화ㆍ융복합시설을 들여놓고, 유통ㆍ판매까지 연계토록 했다.
일찍부터 산업단지 구조조정의 필요성이 제기돼온 터여서 산업계는 일단 정부의 조치를 반기고 있다. 그러나 틀에 박힌 공급자 중심의 접근방식으로는 장기적인 성공을 담보하기 어렵다. 정부가 아무리 좋은 정책을 내놓아도 기업이 관심이 없다면 실패로 끝날 수밖에 없다. 입주기업과 대학, 연구소 등에 최대한의 자율권과 편의, 인센티브를 제공해 스스로 기술-산업-대학이 연계될 수 있도록 산업생태계 환경을 만들어 줘야 한다. 국내 유력 벤처기업들이 몰려 있는'판교 테크노밸리'와 서울 디지털단지로 탈바꿈한 구로공단, 파주출판단지 등에서 성공 모델을 찾을 수 있다.
전국의 노후한 산업단지를 리모델링하는 작업에도 이러한 방식이 적용돼야만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다가오게 된다. 정부는 산업단지라는 지역공간을 팔기보다는 그 안에서 이뤄질 기업들의 생산성 향상과 기술 혁신을 위한 환경을 우선적으로 조성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아울러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황폐화하고 있는 기존의 도시형 첨단산업단지를 활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방안도 궁리하기 바란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