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대치정국 해법 마련 과정에서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 국가정보원 개혁 방안을 고리로 삼겠다는 방침은 섰지만, 민주당에서 3ㆍ15 부정선거가 거론된 뒤 청와대의 기류가 싸늘해지면서 야당과의 물밑 대화 시도마저 중단된 상태다.
새누리당은 여야간 대치를 매듭짓기 위한 형식으로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대표간 3자회동을, 내용으로는 국정원 개혁을 염두에 두고 있다. 박 대통령이 국정원 개혁에 대한 의지를 천명한다면 민주당도 대통령 사과나 국정원장 해임 요구 등에서 유연한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보는 것이다.
하지만 주말을 지나면서 이 같은 기대감은 유보적인 스탠스로 바뀌었다. 민주당 국정조사특위 위원들이 국정원 댓글 사건을 3ㆍ15 부정선거에 비유하자 청와대가 발끈하면서 새누리당 입장에선 당분간 3자회동을 적극 추진하기 어렵게 된 것이다. 게다가 민주당이 장외투쟁 강도를 높이기로 한 만큼 당분간 청와대와 민주당 사이에서 뭔가 조정을 해내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런 기류 변화로 인해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는 25일 기자간담회에서 대치 정국 해소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나 제안을 내놓지 못했다. 윤 원내수석부대표는 오히려 "대치 정국을 해소하는 데 있어 민주당의 요구 수위가 너무 높다"고 노골적인 불만을 표시했다. 또 핵심 쟁점으로 떠오른 국정원 개혁 문제에 대해 "법이 아닌 운용의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국정원 사건에 박 대통령을 직접 끌어들이지 말 것과 국정원 개혁을 위한 논의 수위를 마냥 높일 수 없음을 분명히 한 것이다.
윤 원내수석부대표는 이어 26일부터 결산국회를 단독 개최하겠다는 방침과 함께 3자회동이 내달 4~12일 박 대통령의 G20 정상회의 참석 이후에나 가능할 것임을 시사했다. 당분간은 정국 경색을 풀기 위한 3자회동 성사보다 여론을 통한 민주당 압박에 주력하겠다는 생각을 밝힌 셈이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현 상황에선 청와대와 긴밀히 조율하면서 민주당이 강경 일변도로 가지 않도록 설득하는 게 중요하지만 솔직히 당의 입지가 그리 넓지 않다"면서 "황우여 대표나 최경환 원내대표의 정치력이 본격적인 시험대에 오른 셈"이라고 말했다.
양정대기자 torch@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