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 탓에 줄어든 여름휴가 특수가 경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24일 '장기 불황으로 여름휴가 특수의 실종 우려'라는 이름의 보고서에서 "여름휴가는 가계 소비·지출 증가로 내수진작, 지역경제 활성화 등 경제적 순기능을 가지지만, 최근 가계 실질소득이 급락해 올해 여름휴가철 특수가 실종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국토교통부의 설문조사 결과 '여름휴가를 갈 계획이다'라는 응답 비율은 지난해 23.5%에서 올해 22.1%로 줄어들었다. 가구당 국내여행 지출 예상비용도 지난해 63만5,000원에서 올해 56만9,000원으로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반해 해외 여행 비율은 작년 6.5%에서 올해 6.4%로 줄었지만, 가구당 평균 해외여행 지출 예상비용은 지난해 379만8,000원에서 올해 385만원으로 증가했다.
연구원은 총가구수(1,821만 가구)와 국내여행 비율(22.1%×93.6%=20.7%), 가구당 지출비용(56만9,000원)을 반영해 올해 여름휴가 특수를 2조1,000억원 규모로 추산했다. 이는 같은 방식으로 계산한 2008∼2012년의 평균 여름휴가 특수 규모 2조5,000억원보다 4,000억원 적은 규모다.
이어 연구원이 추산한 올해 여름휴가 특수 생산유발액은 3조8,000억원, 부가가치유발액은 1조6,000억원, 취업유발인원은 3만3,000명이다. 예년 평균보다 생산유발액은 6,000억원, 부가가치유발액 3,000억원, 취업유발인원은 6,000명이 적다.
보고서는 여름휴가철 국내관광 부진으로 문화·관광 산업이 1차 피해를 보고 농림수산품, 자동차 부품 제조업, 보험업 등이 2차 손해를 입을 것으로 전망했다. 앞서 문화체육관광부가 집계한 관광객의 주요 지출 항목은 식·음료비가 36.8%로 가장 많고 교통비(23.6%), 숙박비(13.6%), 기념품 및 쇼핑비(11.0%), 문화오락시설 이용료(8.3%) 등의 순이었다.
주 연구위원은"여름휴가 특수 위축에 따른 내수침체 가능성에 대비해 관광 인프라를 개선하고 불가피한 사정으로 휴가를 가지 못하는 계층을 위해 대도시 주변 휴가 상품을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승양기자 schu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