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국가기록원에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원본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22일 최종 결론 낼 예정이어서 회의록 증발 의혹 정국이 중대 분수령을 맞게 됐다.
회의록이 없는 것으로 결론 날 경우 정국은 엄청난 후폭풍에 휩싸이면서 ‘사초(史草) 파기’ 논란이 급격하게 불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회의록을 찾을 경우 회의록 증발 의혹은 사라지고 이번 논란의 출발점이었던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해 북방한계선(NLL) 포기 취지 발언 공방이 계속될 전망이다.
여야 각각 5명씩 10명의 열람위원 전원은 22일 오후 2시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을 방문해 회의록 존재 여부를 최종 확인하고, 확인한 내용을 국회 운영위원회에 보고할 예정이다.
새누리당 황진하 조명철, 민주당 박남춘 전해철 의원 등 4명의 열람위원은 21일 오후 2시쯤 4명의 민간전문가와 함께 경기 성남에 있는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을 방문, 사흘째 회의록을 찾기 위한 재검색 작업을 계속했다.
최종 확인 결과 회의록을 찾기 못할 경우 여야는 격한 책임 공방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새누리당은 노무현정부 청와대가 국가기록원에 회의록을 이관하지 않았다고 공세를 펴고, 민주당은 이명박정부에서 대화록이 훼손됐다고 맞설 것으로 보인다. 특히 새누리당이 검찰 수사의뢰 방침을 밝히고 있어 회의록이 없을 경우 회의록 행방에 대한 검찰 수사가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
여야는 이날 책임론을 둘러싼 전초전 성격의 공방도 벌였다.
민주당 홍영표 의원은 기자회견에서 “지난 3월26일 노무현재단 실무자 2명이 참여정부 청와대 업무관리시스템인 ‘이지원(e知園)’ 사본 안에 있는 노무현 전 대통령 개인 기록을 제공받기 위해 대통령기록관을 방문했을 당시 사본이 보관된 지정기록 특수서고의 봉인이 해제돼 있었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 김태흠 원내대변인은 “친노세력과 민주당 일부에서 자꾸 근거 없이 이명박정부의 회의록 훼손 의혹을 이야기하는 것은 회의록이 없을 경우 책임을 전가하려는 불순한 의도에 따른 것”이라고 반박했다.
한편 민주당 일각에서 회의록을 찾기 위한 재검색 기간을 연장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지만, 새누리당은 “시간을 끈다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 아니다”며 기간 연장에 반대하고 있다.
정녹용기자 ltree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