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19일 오후 경기도 성남의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을 다시 방문해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을 찾기 위한 재검색에 착수했다. 이날 재검색에는 전체 10명의 열람위원 중 새누리당 황진하 조명철, 민주당 박남춘 전해철 의원 등 4명이 참여했다.
여야는 전날 합의에 따라 김종준 두산인프라코어 보안실장, 김요식 국가보안기술연구소 보안실장(이상 새누리당 추천), 박진우 전 대통령기록관 과장, IT(정보기술) 전문가 A씨(이상 민주당 추천) 등 민간 전문위원들을 재검색에 참여시켰다. 박 전 과장은 노무현정부에서 청와대 행정관을 지냈으나 이명박정부 때 대통령기록관에서 면직됐다. A씨의 신원은 공개되지 않았다. 여야는 민간 전문위원들이 회의록 부재의 원인이 대통령기록관 이관 전 누락 또는 폐기 때문인지, 아니면 비밀문서 암호화, 시스템 운영의 차이 등에 따른 것인지를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여야 위원들은 이날 국가기록원에 도착한 뒤 4층 열람장으로 이동하면서도 팽팽한 신경전을 벌였다. 새누리당 황진하 의원은 "기록원에서 아무리 찾아도 없다고 하니 (이번에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결론을 내릴 것 같지만 소중한 자료를 찾아야 한다는 필요성은 느낀다"고 각을 세웠다. 이에 민주당 전해철 의원은 "지금까지 기록물 검색에 한계가 많았다. 검색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다양한 방법으로 찾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위원들은 앞서 진행한 두 차례의 열람 때와 마찬가지로 휴대전화를 반납하고 열람장에 들어갔으며, 외부인의 접근이 금지됐다. 여야 위원들은 본격적인 재검색에 들어가기 전에 민간 전문가의 활동 허용 범위와 재검색 방법 등에 대해 협의했다.
여야는 이날부터 21일까지 사흘 동안 재검색을 진행한 뒤 22일 최종 결과를 확인한다는 방침이지만 이번 논란을 잠재울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무엇보다도 관련 규정 및 기술적인 문제로 인해 전수조사를 할 수 없다는 점이 가장 큰 한계로 지적된다. 대통령기록물관리법에 따르면 국회 재적 의원 3분의 2 이상의 동의를 받았더라도 대통령기록물을 직접 열람하는 권한은 대통령기록관 직원만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열람위원들도 직접 검색에 참여하지 못하고 기록관 측의 자체 검색 결과를 보고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 기술적으로도 전수조사가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화록이 저장된 것으로 알려진 전자문서의 경우 개별 파일별로 암호화돼 있어서 본문 검색을 위해선 일일이 파일을 열어봐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국가기록원 측도 여야 열람위원단에 "본문에도 대화록이 없었다"는 요지로 보고했다가 "개별 파일까지 모두 확인했느냐"는 지적에 "본문 검색까지는 못했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야당 일각에서는 "노무현정부의 청와대 온라인 업무관리시스템인 '이지원(e-知園)'을 아예 복구하자"는 주장도 나오고 있지만 이 역시 해결책은 아니라는 게 열람위원단 측의 설명이다.
신정훈기자 hoo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