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록원이 18일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밝힌 데 대해 기록물 관리 전문가들은 아직 찾지 못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임상경 전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장은 이날 언론 인터뷰에서 “비밀 문서의 경우 제목을 별칭으로 기록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라며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에도 보안상 문서 제목에 별칭을 붙여 보관하고 있어서 찾지 못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참여정부에서 대통령기록관리비서관을 지냈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기록물 이관 당시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장을 맡아 이관 작업을 총괄했다.
이영학 한국외대 사학과 교수는 “이번 사태는 기록 전문가로서 이해할 수 없는 얘기”라며 “기록물이 파기됐다면 고의성이 있다는 건데 그럴 가능성보다는 검색하지 못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기록물 관리 전문가도 “비밀 기록물일수록 제목과 내용을 다르게 표기해 쉽게 검색되지 않도록 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전자기록물의 경우 제목에도 가명을 쓸 수 있도록 돼 있어서 찾아내려면 수작업을 해야 하고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회의록이 종이문서가 아닌 ‘전자파일’ 형태로 보관돼 있을 가능성도 제기했다. 임 전 관장은 “대통령기록물관리법에는 전자기록이 원칙이므로 민감한 자료는 보안을 고려해 전자문서만 이관됐을 수 있다”며 “청와대 업무관리시스템인 ‘이지원’에 파일이 있으면 종이 기록은 폐기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국가기록원의 대통령기록관리 시스템 자체의 불안정성으로 검색되지 않을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영학 교수는 “현재 김대중정부까지 남은 기록물이 거의 없는 상황이고, 전직 대통령 기록물관리 시스템을 만들어가는 와중에 (국가기록원이) 이번 일처럼 특수한 상황에 대처하기에는 (기술적으로) 부족한 부분이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임 전 관장도 “당시 대통령기록관리 시스템을 급히 만들었기 때문에 시스템 안정성에 대해 다소 우려가 있었다”고 말했다.
신정훈기자 hoo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