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일 서울 동작구 상수도관 공사현장의 수몰 참사는 팔당댐 수위가 오르면 현장에서 즉각 철수하라는 수방 계획을 제대로 지키지 않아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사고로 근로자 1명이 목숨을 잃었고 6명은 실종된 상태다.
이 때문에 공사 발주기관인 서울시도 참사 책임에서 벗어나기 어렵게 됐다. 발주처인 서울시가 관리 감독을 더 철저하게 했더라면 사전 예방이 가능했을 것이란 지적에서다.
시공사인 천호건설 측은 16일 "현장에 갔을 땐 역류할 수 있는 높이가 1m 이상 남아있었다"며 "당연히 매뉴얼대로 (근로자들이) 빠져나올 줄 알았다"고 말했다. 아무런 사전 조치를 하지 않은 '인재'임을 자인한 셈이다.
지난 5월 각 공사장에 팔당댐 수위의 변화가 있으면 공사 현장에서 즉각 철수하라는 수방계획이 전달됐지만 이를 무시했다는 고백도 나왔다.
또 현장 소장은 사고 발생 전인 오후 4시13분쯤 직원이 스마트폰 메신저로 범람 위기를 알리는 현장 사진을 보내와 4분 후 공사팀장을 시켜 하도급업체인 동아지질 소속 관리자에게 작업 임시 중단 지시를 내리도록 했으나 현장 작업자들에게까지 전달됐는지는 확인하지 못했다고 했다.
결국 당일 오후 3시 팔당댐이 방류를 시작했고 곧이어 북한의 임남댐이 수문을 열어 한강 수위 상승이 급속히 진행되던 위기의 순간에 안이한 대응이 사고를 불렀던 것으로 추정된다.
조사 결과 근로자 7명은 25m 깊이의 지하 공사장에서 아무런 경고나 주의를 듣지 못한 채 작업을 하다 순식간에 들이닥친 강물에 속수무책으로 휩쓸린 것으로 나타났다.
상수도관 끝 부분에 설치된 철문이 갑자기 유입된 한강물의 압력을 이기지 못해 부서지면서 수몰 사고가 발생한 것이라는 게 소방당국의 추정이다.
사고 발생 직후 소방당국은 대원 116명과 펌프 6대를 투입해 물을 빼며 구조작업을 벌였다. 그러나 강물에 계속 유입되는 바람에 구조작업 자체가 사실상 불가능했다.
정연찬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이날 사고 현장 브리핑에서 "배수 작업이 끝나면 전문가들의 자문을 받아 시야 등 안전을 확보하고 잠수부를 투입해 실종자 수색작업을 하겠다"고 말했다.
송원영기자 wyso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