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정상회담은 정치· 안보 분야의 큰 진전 못지않게 경제 분야에서도 적지 않은 성과를 남겼다. 가장 큰 성과는 높은 수준의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위해 노력하기로 합의한 것이다. 지난해 5월 협상 개시 후 교착상태에 빠진 협상이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560억 달러 규모 한중 통화스와프의 만기가 1년여 남았는데도 재연장한 것은 양국의 강한 결속력을 보여준다. 경제협력을 첨단기술 정보통신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하고, 기술 분야의 협력을 강화하기로 한 것도 눈에 띄는 성과다.
그러나 경협 확대라는 장밋빛 성과와 기대 뒤에는 그림자도 있다. 높은 수준의 FTA 체결을 목표로 할 경우 국내 중소기업과 농어업에 큰 피해가 예상된다. 국내 경제에 줄 충격과 피해 업종에 미칠 파장을 최소화하는 협상 전략을 짜야 한다. 중국과의 통화스와프 연장도 외환위기 가능성을 줄인다는 점에서 반갑기는 하나 중국에 너무 의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중국의 신용 경색이 위기 상황으로 갈 수도 있다. 미국 일본과의 통화스와프 재개 또는 확대 가능성도 열어둘 필요가 있다. 중국으로의 기술 유출 사건이 빈발하는 점을 고려, 기술 협력에 앞서 한국 기업의 기술 및 지적재산권 보호를 더 철저히 한다는 보장을 받아야 한다.
경협 확대의 돗자리가 깔려도 우리 기업들이 재주를 부리지 못하면 손에 쥐는 결실은 초라할 수 있다. 중국 시장에서 통할 우수 제품을 개발하고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 마련에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 박근혜 대통령이 방중 사절단에 "장기적으로 중국인의 마음을 얻어야한다"고 말한 뜻을 되새겨야 할 것이다.
중국 진출에 열을 올리고 있는 대기업들이 우리 국민의 마음을 얻는 것도 중요하다. 글로벌 경영전략 차원에서 중국에 공장을 지을 수 있지만 일자리를 잃는 많은 국민의 마음을 헤아려야 한다. 중국에서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제에 기여하는 만큼 국내에서도 사회적 공헌을 늘려야 국민의 사랑을 받을 수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