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전쟁 중 북한으로 끌려간 민간인 납북자 현황을 정부가 새로 조사한다. 1963년 '실향사민(失鄕私民) 명부'를 발간한지 50년 만이다. 과거와 달리 납북피해 신고가 없더라도 정부가 각종 자료를 바탕으로 직권 조사한다고 한다. 끝나지 않은 전쟁, 6· 25의 정확한 기록을 역사에 남기는 의미가 크다.
6·25 납북자는 줄잡아 10만 명으로 추산된다. 종전 60년을 맞은 지금껏 대체적인 명부조차 작성하지 못한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납북자 가족들이 나이 들거나 사망함으로써 확인 작업은 갈수록 어렵다. 2010년 출범한 납북피해진상규명위원회가 새로 확인한 인원은 2,300명밖에 되지 않는다. 임시정부 부주석을 지낸 독립투사 김규식 선생조차 며칠 전에야 납북자로 공식 인정됐다.
그동안 납북자 대부분은 공직자와 교수, 문인 등을 비롯해 사회 지도층 인사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최근 미국 우드로 윌슨센터 기록보관소에서 발견한 미군 노획문서에 따르면, 북한은 부족한 노동력을 메우기 위해 서울시민 50만 명을 북송시킬 계획을 세우라고 서울시 인민위원회에 지시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비춰, 적 치하 혼란 속에서 얼마나 많은 양민이 납치됐는지 가늠하기 어렵다.
납북자 가족들은 오랜 세월 이루 말할 수 없는 아픔을 겪었다. 특히 스스로 월북한 것으로 오해 받는 경우가 많아 비극을 더했다. 이런 납북자 본인과 가족들의 명예 회복과 역사의 정확한 기록을 위해 정부는 지속적인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국군전사자 유해 발굴 작업도 더욱 힘을 쏟아야 한다. 격전지 산야 곳곳에는 호국용사 13만 명의 유해가 아직 그대로 묻혀있다.
6· 25 전쟁 63주년을 앞두고 서울시교육청을 비롯한 교육 당국이 전쟁의 기억이 없는 학생들에게 그 진상과 의미를 알리는 여러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한 것은 바람직하다. 민족사의 비극 6· 25의 참담한 기억과 교훈을 청소년들에게 올바로 전하는 것은 앞날의 평화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