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양적완화 축소를 하더라도 한국 신용등급에 직접적인 영향은 크지 않다. 오히려 미국 경제의 회복으로 한국에게 수출을 늘릴 기회가 될 수 있다."
미국계 신용평가사 무디스의 톰 번 무디스 부사장은 20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은 저금리 상태에서도 정부가 국채를 발행해 차입을 특별히 늘리지 않았기 때문에 양적완화가 축소되고 금리가 올라도 직접적인 영향은 크지 않다"며 "채권 수익률이 올라가면 다른 국가는 자금 조달 비용이 증가할 수 있지만, 한국은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번 부사장은 이어 "미국의 양적완화가 축소되면 아시아로 들어왔던 투기성 자본들이 유입되는 속도가 줄어들 것"이라며 "한국은 현재의 국가부채를 상환하는 데 국내외 금융시장에 의지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안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오히려 미국의 출구전략이 경제회복의 신호로 볼 수 있는 만큼 한국 수출기업들에 긍정적 기회일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했다.
그램 노드 금융기관 담당 이사도 "양적완화 축소의 배경에는 미국 경제의 성장 국면이 있으므로 한국에는 수요 증가라는 희소식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출구 전략에 따른 국내 기업들의 환율 변동 위험에 대해서도 낙관했다. 무디스가 4대 고위험 업종으로 분류한 건설ㆍ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ㆍ조선ㆍ해운 가운데 조선ㆍ해운의 예를 들며 "과거 환율 위험 헤징을 했을 것이므로 환율 변동 시에도 수주잔액에 악영향이 없고 신규 수주 가능성은 커진다"며 "고전했던 업종에 기회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무디스는 지난해 한국 신용등급을 Aa3으로 상향 조정했다.
번 부사장은 "공사채 발행 증가세, 민간 소비에 부담이 되는 가계부채 등 미시적인 문제들은 있지만, 한국 신용등급에 장기적인 위험은 없다"고 말했다.
번 부사장은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에 대해 "생산성 향상은 젊은 피가 새로운 산업에 투입돼야 가능하다"며 "지나치게 재벌 중심인 한국의 산업구조에 변화가 생겨 중소기업이 큰 몫을 담당한다면 한국 경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노드 이사는 일본의 아베노믹스에 대해 "성장전략의 성과는 더 혁신적인 기업이 나오는지에 달렸다"며 "미국의 페이스북처럼 '제2의 페이스북'이 일본에서 나올 수 있는지를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무디스는 이날 보고서를 통해 "한국 은행산업 전망이 안정적"이라며 "개선되고 있는 은행 자금조달 구조와 유동성을 저해하지 않고 양호한 자본적정성이 유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진용기자 hub@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