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앞으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보고, 다양한 시나리오별 비상 계획(컨틴전시 플랜)을 마련했다. 특히 필요할 경우 이른바 '거시건전성 3종 세트(선물환포지션 제도, 외국인 채권투자 과세, 외환건전성 부담금)'의 미세 조정을 통한 외환시장 안정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또 금융 기관들의 단기차입 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스트레스테스트(위기대응능력)도 실시키로 했다. 하지만 당분간은 성급한 개입보다는 시장상황 모니터링에 주력할 방침이다.
정부 관계자는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로 인한 자본의 유출입이 발생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실물 부문의 영향도 있을 것"이라며 "한국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상황별 시나리오를 관계 기관과 함께 마련, 탄력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금융위원회도 25일 금융감독원과 합동으로 금융 상황 점검회의를 열어 국내외 금융 시장에서 미국의 양적 완화가 미치는 영향과 대책을 협의키로 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금융시장이 불안한 만큼 추세를 들여다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금융감독원도 미국 양적완화 축소로 발생할 불안 요인으로 ▲국채금리 상승에 따른 금융권 손실 발생 ▲글로벌 유동성 축소에 따른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 ▲기업 자금사정 악화 등으로 지목하고 있는 상황이다.
금융당국은 우선 채권금리 상승으로 증권사 등 금융회사들이 큰 손실을 볼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점검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금감원은 최근 증권사들에 채권 보유현황을 보고하도록 했으며 다음 주 회의를 통해 현황을 점검할 계획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외국인 자금 이탈 현상도 좀 더 관심 있게 들여다보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이와 함께 양적완화 축소에 따른 신용경색 발생 가능성을 우려하고 이를 차단하는 데 힘을 모으기로 했다. 특히 해운·조선·건설 등 취약업종에 대한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한편, 필요 시 시장 안정대책 마련도 고려하고 있다.
현재 정부는 인도네시아 등 다른 아시아 신흥 경제국과 달리 우리나라에서는 가까운 미래에 급격한 자본유출이 발생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보고 있다. 주가가 급변하고 원·달러 환율이 요동치기는 하지만 국내 금융시장의 기반이 튼튼해 불안한 상황은 아니라는 판단이다.
정부 관계자는 "미국의 양적 완화 정책 종료는 단기적으로는 시장에 충격을 주겠지만, 중·장적으로 보면 미국 경제가 회복된다는 증거인 만큼 긍정적 측면이 있다"며 "단기적인 시장의 움직임만 보고 과민 반응하지 않는 게 좋다"고 말했다.
박진용기자 hub@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