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 대통령 첫 제2연평해전 추모식ㆍ법의날 기념식 참석'(이명박 전 대통령), '임기 내내 5ㆍ18기념식 참석 및 현직 대통령 7년 만의 4ㆍ19기념식 참석'(노무현 전 대통령). 두 전직 대통령은 국정 운영 지향점 차이만큼이나 참석한 기념식도 극명하게 갈렸다. 대통령의 기념식 행보를 통해 통치 코드를 읽을 수 있다는 점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임기 동안 내놓을 '기념식 정치'에도 관심이 집중된다.
역대 대통령들은 기념식을 통해 자신의 국정철학과 어젠다를 전파하는 동시에 국정 현안 관리 기회로도 활용했다. 최진 대통령리더십연구소장은 17일 "기념식은 공개된 장소에 해당 분야 인사들이 총출동한다는 점에서 집중도가 높고, 언론 역시 주목하는 공간인 만큼 대통령 입장에선 자신의 국정 철학을 전달할 좋은 기회"라고 말했다. 이명박정부에서 홍보라인에 있었던 한 인사는 "기념식은 PI(President Identityㆍ대통령 이미지 통합관리)의 연장선이자 국민과의 소통의 장이기 때문에 참석 여부부터 면밀히 검토된다"고 말했다.
기념식에 가느냐 마느냐 자체가 대통령의 메시지인 만큼 청와대도 기획 단계부터 대통령의 동선을 관리한다. 5ㆍ18 기념식 등 민감한 행사일수록 참여 여부를 놓고 이런 저런 해석이 곁들여지며 논란거리도로 비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국정기획수석실과 정무ㆍ홍보라인이 주기적으로 기념식 참석 관련 실무회의를 통해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을 거친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결국 중요한 것은 대통령의 의지"라며 "박 대통령이 현직 대통령으론 10년 만에 발명의날에 참석한 것도 창조경제의 창의성은 결국 발명으로 구현된다는 대통령 의지의 반영"이라고 말했다.
역대 대통령들도 자신의 국정 목표를 제시하고 국정 현안 돌파를 위해 기념식을 적극 활용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5ㆍ17 관련자 단죄 직후 현직 대통령으론 16년 만에 현충원 추념식에 참석했다. 당시 청와대 관계자는 "역사 바로세우기의 외연을 넓히기 위한 일환"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김대중 전 대통령도 현직 대통령으론 처음 5ㆍ18 기념식에 참석하고 박정희 전 대통령 이후 35년 만에 광주학생독립운동 행사에도 모습을 나타냈다. 민주화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는 동시에 아들 비리 의혹으로 흔들리던 정치적 텃밭 다지기란 해석도 나왔다.
대통령들이 찾은 기념식엔 차이가 있지만 3ㆍ1절 및 광복절 기념식에 지대한 관심을 쏟은 것은 공통점이다. 이명박정부의 한 인사는 "독립ㆍ광복의 의미 외에도 그 해 정부가 주력하는 국정 과제를 국내외에 강력한 메시지를 통해 전달하는 자리"라며 "2개월 전에 자료수집에 착수, 한 달 전엔 그 시점의 여론과 주요 이슈를 집중 반영하는 작업을 거쳤다"고 말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경우 대통령 주재 경축사 독회만 10여차례 열렸고, 김대중 전 대통령 시절엔 경축사준비위가 구성되기도 했다. 실제 이명박 전 대통령의 통일세 신설 구상이나 '공생발전' 화두, 노무현 전 대통령의 친일ㆍ독재시대 과거사 청산 발언 등의 화두가 광복절 축사를 통해 제시되며 신문의 헤드라인을 장식했다. 대일외교 방향 외에도 선거제도 개편, 주택정책, 균형재정 등의 정책이슈도 여기서 쏟아졌다.
'기념식 정치'는 과거 권위주의 정권에선 국군의날 행사에 참석해 군 사열을 받는 모습 등을 통해 대통령의 위상을 과시하는 공간으로 적극 활용한 데 비해 최근에는 정치성보단 정책적 부분을 강조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경우에도 무역의날 등 경제 관련 행사를 꼬박꼬박 챙겼으며 전국 동시 치러진 마이스터고 입학ㆍ졸업식에 참석하며 청년취업 문제에 대한 관심을 부각시켰다.
최진 소장은 "기념식을 지나치게 정치적으로 활용하지 않고 정책적 메시지를 내놓을 필요가 있다"며 "가정의날ㆍ부부의날처럼 소프트한 기념식에도 들러 의례적인 발언 대신 미국처럼 감성적 메시지를 통해 국민과의 공감대를 이뤄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장재용기자 jyja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