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관성 명분 계량화 치중 교육보다 '요령' 부작용"성실·실력 대신 연공서열·서류·연수·아부가 먼저"교원능력평가 객관성 논란 동영상 평가 등 편법 기승"정성적 평가 등 참스승 대접받는 풍토 만들어야"
성실하고 수업시간에 잘 가르치는 1등 교사. 학생 학부모들이 열광하는 교사가 승진도 잘 할까. 유감스럽게도 우리의 교육 현장은 이와 거리가 멀다. 아무리 잘 해도 '요령'이 없으면 도루묵이다. 실력이나 성실보다는 요령이 앞서는 것이 서글픈 현실이다.
B교사는 A초등학교의 스타교사다. 학생 학부모 모두가 담임 맡기를 바라고 공부를 싫어하던 아이들도 개학을 기다린다. 학기 초에 몇 명 있던 학습부진학생도 두어 달이면 제로가 된다. 운동회나 학예회, 각종 발표 때는 항상 1등이다. 체벌이나 촌지, 기부금과도 거리가 멀다. '신바람 나는 교실' 만들기의 모델이다. 학부모들은 당연히 승진도 빠를 것이라고 여긴다.
하지만 요즘 B교사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승진에 신경을 써야 할 때가 돼 가는데, 수업과 학생지도에만 신경을 쓰다가는 '점수관리'가 쉽지 않기 대문이다. 각종 연구학교 시범학교의 주무교사를 맡아야 하고, 연수 석 박사학위 오지근무 등 다양한 경력을 쌓기가 간단치 않다. 승진에 필수적인 근평 1위는 교장과 '원만한' 관계 설정이 필수인데,아무래도 '코드'를 맞출 자신이 없어 진퇴양난이다.
시내 한 중학교 김모(46) 교사는 "승진을 위해서는 실력이나 성실함 보다는 서류 잘 꾸미고, '연수쇼핑'을 통해 연수점수를 착실히 챙기면서 적당한 아부에다 원만한 성격의 4박자를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곧 '참 스승'들도 요령의 맛에 빠지게 한다. 각종 연구 시범을 도맡고, 학교장과 좋은 관계를 유지해 부장교사, 그 중에서도 요직인 연구 학생 교무부장 순서로 맡을지 몰두하게 된다.
박모(34) 교사는 "근평은 다면평가 등 학교장의 전횡을 막기 위한 장치가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교장이 좌지우지하고, 성과급도 연공서열식으로 집행되고 있다"며 "처음엔 화가 나다가도 시간이 지나면서 순응하게 된다"고 말했다.
초등학교에서 수업이 적은 저학년은 고참 교사가, 고학년은 젊은 교사가 맡는 등 힘든 일은 신참 교사의 몫이지만, 점수는 경력 많은 교사가 많이 받는 불합리함이 여전하다 보니 참 스승들의 설 자리는 더욱 좁아진다.
교사들의 자질향상 등을 위한 각종 연수도 점수관리용으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상당수가 "승진을 위한 연수를 위한 연수"로 여긴다.
이와 함께 올 들어 4년차에 접어든 교원능력개발평가도 교사들에게 엄청난 스트레스다. 승진이나 급여와 무관하게 교사의 자질을 평가해 부족하다고 나타나면 연수 등을 통해 보완하자는 취지이지만, 평가 자체의 객관성이 문제다. 객관성 확보를 위해 동료교사는 물론 학부모와 학생까지 참여시킨 것이 되레 문제가 되고 있다.
서모 교사는 "학생평가는 인기투표로 전락했고, 학부모는 하루 종일 수업을 참관해야 하는 현실적인 어려움으로 평가위원 위촉이 어렵다"며 "중 고교는 제대로 이해를 못하는 일도 많아 궁여지책으로 교사의 수업내용을 동영상으로 촬영해 홈페이지에 올리고, 이를 본 학부모가 평가하는 촌극이 빚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각종 평가시스템이 점수 위주의 정량적 평가인데다 연공서열 위주로 운영, 실상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상당수 교사들이 교과연구나 학습자료발굴, 학생복지나 소통 보다는 '승진 스펙' 쌓기로 내몰고 있다. 실제로 일선 교육현장에선 승진이나 전보 인사 때 소수점 2자리까지 '점수'를 따지고 있다. 질 보다는 양이 우선이다.
지난해부터 학교평가와 학교장평가, 성과급 평가 등이 학교평가 하나로 통합되고 항목도 5개로 정비됐지만 외형적 성과 중심 평가는 여전하다. 교육복지 참가학생 수, 도서대출 권수, 방과후교육 참가자 수 등을 따지면서 교사들의 열정과 노력에 대한 평가는 소홀할 수밖에 없다.
학교폭력 등을 은폐하기에 급급한 것도 이 같은 획일적 평가시스템 영향이 크다.
이에 대해 교육계 한 관계자는"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불완전하지만 정량적 평가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강석기자 kimksu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