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과다사용)율이 인터넷의 두 배 이상으로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교육청이 시내 초등학교 4학년, 중ㆍ고교 1학년 학생 30만239명의 인터넷ㆍ스마트폰 이용습관을 전수조사 한 결과다. 국내 청소년 스마트폰 보급률은 2011년 말 6%에서 지난해 6월 35%, 올 상반기까지 90%에 이를 정도로 급증세를 타면서 생활 전반에 미증유의 격변을 일으키고 있다. 하지만 아직 올바른 사용에 대한 규범적 가치조차 정립되지 못한 채 병리현상이 심화하고 있는 셈이다.
조사는 인터넷ㆍ스마트폰 중독 때 나타나는 금단현상, 수면 및 학업 장애, 충동과 주의력 결핍 등의 증상을 제시하고, 학생들이 해당 정도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이뤄졌다. 그 결과 스마트폰 과다사용률은 인터넷 3.07%의 두 배를 넘긴 6.51%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보급률이 높은 고학년으로 갈수록 중독 상황이 심해져 초등학생 과다사용률은 0.91%인 반면, 중1, 고1 학생들은 각각 7.24%, 8.86%로 급격히 높아졌다.
첨단 정보통신기기로서 스마트폰은 청소년이 반드시 익혀야 할 미래형 도구임이 분명하다. 하지만 자제력을 잃고 빠져들 경우 심신 건강과 일상을 송두리째 파괴하는 ‘괴물’로 돌변하기 십상이다. 이미 중독으로 인한 안구건조증과 근골격계 이상, 표현능력과 집중력 저하, 짜증과 초조감 같은 심신 부작용이 숱하게 보고된 상태다.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는 지난해 9월 스마트폰 중독이 청소년을 넘어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대인관계에까지 부작용을 일으키고 있음을 보고했다.
곽노현 전 교육감 때 서울시교육청은 학생인권선언에서 모바일혁명의 심각성을 간과한 채 청소년 휴대폰 사용을 사생활의 자유 문제로만 재단해 큰 혼선을 초래했다. 문용린 교육감이 과거의 잘못을 직시한 건 다행이다. 하지만 청소년 스마트폰 남용은 학교 차원의 틀에 박힌 선도교육만으론 바로잡기 어렵다. 이미 건강한 스마트폰 사용 캠페인이 시민ㆍ종교단체에서 시작된 만큼, 이제 국가 차원의 지원과 관련 입법을 통해 올바른 스마트폰 이용에 관한 모럴을 확산시켜야 할 때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