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일왕을 앞세워 28일 개최한 주권회복 기념식을 두고 일본에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기념식에서는 아베 총리 등이 가세한 가운데 ‘천황폐하 만세’ 삼창이 나와 논란이 되고 있다. 오키나와 주민 등의 반발을 무릅쓰고 개최한 기념식을 두고 개헌 정지 작업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아사히(朝日)신문은 29일자 사설에서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왜 일본이 점령당하는 상황에 이르렀느냐 하는 점”이라며 “두말할 것도 없이 일본이 침략 전쟁과 식민지 지배의 과오를 범한 끝에 패전을 맞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1952년 4월 28일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발효로 일본이 미 군정으로부터 독립한 이 날을 아베 총리가 ‘진정한 주권을 회복한 날’이라며 국가 행사로 격상한 것은 시대착오라는 것이다. 사설은 또 “일본은 1945년 종전 후 7년간 연합군 점령 하에 평화헌법을 제정하고 군국주의와 결별했다”며 “이로써 민주국가의 재출발 선언이 가능했고 국제사회 복귀도 인정됐다”고 지적하면서 아베 총리의 평화헌법 개정 움직임을 비난했다. 사설은 “그것을 잊은 채 점령기를 ‘굴욕의 역사’로 간주하는 것은 터무니없다”며 “같은 패전국인 독일은 전국민적으로 과거사 정리 노력에 나서 국제사회에서 위치를 정립했다”고 강조했다.
요미우리(讀賣)신문도 사설에서 “주권을 상실한 경위를 포함, 냉정하게 (역사를) 다시 보는 것이 중요하다”며 “(태평양전쟁은) 국제감각을 잃은 일본 지도자들이 시작했고 패전과 점령은 그 결말”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극우성향의 산케이신문은 “북방영토(쿠릴열도의 일본식 명칭)와 다케시마(독도의 일본식 명칭)가 반환되고 납북 피해자 전원이 일본으로 돌아오기 전까지 진정한 주권 회복이 이뤄졌다고 할 수 없다”는 주장을 폈다.
도쿄=한창만특파원 cmha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