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8일 한 언론이 '입학사정관제 폐지'를 단독으로 보도했다. 교육부가 2015학년도 대학입시부터 폐지키로 했다는 내용의 기사로, 갑작스러운 보도로 학생과 학부모, 학교 모두가 혼란을 겪었으며, 각종 포털 사이트에서는 '입학사정관제'가 실시간 검색어 1위에 오르기도 했다. 이에 교육부는 공식 해명자료를 발표하고 입학사정관제 폐지에 대해 검토한 바 없으며 기사 내용은 사실과 다르다고 전해 사건을 일축했으나, 입학사정관제는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입학사정관제는 학생의 소질과 인성, 경험과 성취도, 창의력 등을 종합 평가해 신입생을 선발하는 제도를 말한다. 이 제도는 우수 인재를 뽑을 때, 학생들의 성적보다 잠재력에 비중을 두고 선발하겠다는 취지 아래 시행되어 왔으며 이 제도가 제대로만 시행된다면 우리나라의 입시의 폐해를 줄이고 사교육 완화와 공교육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몇몇 사람들은 입학사정관제에 대해 불만을 표현하고 있으며 폐지를 주장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 좋은 제도를 폐지하는 주장이 왜 계속 나오는 것일까?
난 가장 큰 원인을 신뢰성과 공정성 결여에 있다고 본다. 일단 입학사정관제는 객관적인 지표가 있으나 입학사정관의 주관적인 판단이 합격에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그것들이 정말 객관적으로 작용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사람들은 다 자신만의 주관을 가지고 있다. 입학사정관도 마찬가지다. 합격자를 뽑을 때 자신의 주관이 들어가지 않을 수가 없다. 예를 들어 비슷한 능력과 학업성적을 갖춘 두 지원자가 있다고 가정했을 때, 면접을 통해 합격자를 결정한다고 해보자. 우리는 짧은 시간 동안 그 사람을 판단할 수 있을까? 입학사정관의 우수한 인재 판단은 짧은 시간 동안의 주관적인 느낌이 주는 섣부른 판단이 아닐까 싶다.
또한 입학사정관제의 핵심 전형 자료인 학생부와 자기소개서, 교사추천서, 포트폴리오도 신뢰성을 잃고 있다. 여러 수도권 고등학교에서 입시에 불이익을 줄 수 있다는 이유로 생활 기록부를 고쳐준 사례는 45개 학교에서 217건이나 됐으며 자기소개서와 교사추천서를 표절하거나 대필하는 경우도 빈번했고, 대학들에 보급된 '유사도 검색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 대학도 41개나 됐다. 자칫하면 학생 개인이 준비하는 포트폴리오마저 가문의 도움능력, 사교육을 감당할 수 있는지의 경제력을 그럴듯하게 포장한 자료가 될 수 있으며, 학생의 잠재력을 평가할 방법으로 학교에서 기록해 준 결과와 자료들도 아주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학생이 가지고 있는 성향이나 발전 가능성이 제대로 측정된다고 인정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더욱이 입학사정관제가 활성화된다면 입학사정관제 학원이나 포트폴리오 학원 등 맞춤형 사교육을 부추겨 사교육 비용을 증가시키고 경제력에 따른 격차를 심화시키는 부작용도 나타날 수 있다.
입학사정관제의 본래의 취지가 변질되고, 그로 인해 경제력에 따른 격차가 지속된다면 입학사정관제는 폐지되어야 마땅하다.
입학사정관제가 존속되고 더 확대되기 위해서는 경제력에 상관없이 개인의 노력을 공정하게 평가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입학사정관의 주관적 판단에 좌우되지 않고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이 필요하다.
곽수연 전북사대부고 2학년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