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지구 온난화로 몸살을 앓고 있다. 물에 잠기는 나라가 있는가 하면 극지방의 빙하가 녹고, 혹서와 혹한이 우리를 괴롭히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 사회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겠다고 나서고 있고, 우리나라는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발생 전망치의 상당량을 줄이겠다고 국제사회에 약속한 바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신재생·원자력 에너지 비중을 늘려야한다. 그러나 신재생 에너지는 비용이 많이 들고 원자력은 안전 문제에 대한 논의가 가시지 않고 있다.
우리가 쓰는 에너지의 85% 정도는 온실가스를 발생시키는 화석에너지다. 이러한 화석에너지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등장한 기술이 바로 CCS (Carbon Capture and Storage)다. 이 기술은 온실가스 저감과 더불어 환경 관련 문제를 일거에 해소할 수 있다.
캐나다의 웨이번 프로젝트 등 대규모 저장 실증을 통해 CCS의 마지막 숙제였던 저장소의 안전문제도 풀려가고 있으며 그 안정성 역시 입증되고 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이미 대부분의 북미, 유럽국가에서는 CCS 기술을 받아들였고, 환경 문제에 매우 까다로운 독일도 최근 CCS 사업을 국회에서 승인하고 저장관련 법안을 통과시켰다. 우리나라도 대규모급 저장소를 이미 울릉분지 등에서 이미 확인하였으며, 작년에 그 저장량을 제시한 바 있다.
비용 측면에서도 CCS 기술을 활용한 발전에너지 생산 비용은 풍력과 태양광 등 신재생 기술보다 저렴하다. 그 결과 세계적으로 CCS의 큰 시장이 예고되고 있으며, IEA(국제에너지기구)에서는 2020년에 100개의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2050년 3,400개 프로젝트를 수행할 계획이다. 이를 근거로 녹색성장위원회에서는 2030년 전 세계 CCS 시장 규모를 300조원으로 추산한 바 있다.
CCS 기술의 활용은 유럽과 미국 등 선진국에서 활발히 활용될 것이라는 예측이 빗나가고 오히려 중국 등 석탄이 필수적인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주요 개도국에서 활용 계획이 먼저 구체화되고 있다. 이들 나라는 급격한 경제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화석연료의 활용이 절실하기 때문이다. 반면 유럽과 미국은 경제 침체, 셰일가스의 생산 증가로 온실가스 감축에 다소 여유가 생겼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개도국과의 환경과 동일한 여건이다. 게다가 셰일가스 대량 보급으로 가스 가격이 내려가도 생산지에서 가져오는 운반비용 때문에 그 혜택을 누리기 힘들다. 온실가스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석탄화력에 정부가 크게 비중을 두고 있는 것도 이런 배경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는 그 어떤 나라보다도 CCS 기술이 필요한 나라임에 틀림없는 것이다.
또한 미래 에너지 가격의 흐름을 전망컨대 석탄 가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낮아질 것이 분명하다. 미국 오바마 정부에서 석탄과의 전쟁을 선포하였으며 환경성이 나쁜 석탄의 활용을 억제하자는 발상으로 석탄 가격에 영향을 주기 시작하였다.
우리는 여기서 역발상이 필요하다. 에너지 자원이 거의 전무한 여건에서 환경을 오염시킨다는 이유만으로 석탄을 치부할 것이 아니라, 값싸고 운송이 편한 석탄에 국내에서 개발한 최신 CCS 기술을 장착하여 안전하고 깨끗하며 저비용의 발전에너지로 탈바꿈시켜 이를 기반으로 수출 전략사업으로 육성하는 것이다.
이런 환경을 예상해 국내 CCS 기술을 산업화하기위한 정부 주도의 기술개발이 추진되어 왔으며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은 한국전력, 중부 등 발전회사 및 전문업체와의 컨소시엄을 통해 세계적인 수준까지 도달하였다. 수송기술은 국내 기존 기술로 적용이 가능한 수준이고, 저장기술도 실적을 내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시도는 송도에 유치한 GCF(녹색기후기금)와 연계할 경우 그 효과는 극대화 될 것이다. 에너지의 선택이 다양화해진 가운데 기후변화 억제를 꾀하고 국내외의 여건에 부응하여 국력을 신장할 수 있는 CCS 기술이 국민의 선택을 기다리고 있다.
장경룡 한전 전력연구원 수석연구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