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노르웨이 정부는 고등어 어획쿼터를 지난해보다 10% 줄였습니다. 사실 성장속도가 빠르고 천적이 없는 고등어에 대해 쿼터를 줄인 것은 아웃나라인 아이슬란드가 일방적으로 쿼터를 늘리는 바람에 생긴 일입니다."
다양한 어종을 잡거나 양식해 수출하는 수산 대국 노르웨이는 어종의 90%를 주변국과 공유한다. 당연히 있을 수 있는 어업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유럽연합(EU) 차원의 쿼터제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유럽 각국은 국제해양개발위원회(ICES)의 실태조사를 참고해 쿼터 협상을 벌인다. 1902년 설립된 연구기관인 ICES는 유럽 바다에 서식하는 어종들의 수량 등을 조사해 전망치를 내놓는데, 이것이 쿼터 협상의 근거가 된다. 노르웨이 정부 산하 노르웨이수산물위원회의 헨리크 안데르센 이사는 "국가별 쿼터는 다시 어종에 따라 업체, 배별 쿼터를 나누고, 한번 잡은 고기는 다시 내다버리지 못하도록 하는 등 엄격하게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래도 국가간 협상이 늘 순조로운 것은 아니어서 아이슬란드는 자국 내 고등어 분포가 더 많다며 일방적으로 고등어 쿼터를 늘렸다. 해역을 공유하는 노르웨이는 올해 고등어 쿼터를 줄이는 한편 주변국들과 강력한 대응을 내놓기 시작했다. 고등어 가공시설을 운영하는 주변국들이 아이슬란드산 고등어를 받지 않기로 한 것. 하지만 아이슬란드가 자체 공장을 설립하면서 1차 제재는 무위로 돌아갔고, 현재 EU차원에서 아이슬란드산 제품 금수조치라는 초강수를 검토하고 있다.
안데르센 이사는 "쿼터제가 없을 때는 남획을 하고 정부가 보조금을 지급해야 했다"며 "국가별 쿼터협상이 자리잡기까지는 어려움이 많았지만 결국은 지속 가능성을 유지하는 것이 산업에 더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김희원기자 h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