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대부분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입학사정관제가 부실하게 운영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감사원이 지난해 대전, 대구, 울산지역 고교 205곳을 대상으로 실태를 조사한 결과, 학교생활기록부를 임의로 수정한 사례가 45개교에서 217건이 적발됐다. 입시에 유리하도록 행동특성이나 진로계획, 봉사활동기록 등을 멋대로 고쳤다.
학생부와 함께 입학사정관제의 핵심 전형자료인 자기소개서와 교사추천서를 표절이나 대필하는 경우도 많았다. 표절 여부를 가리는 교육부의 '유사도 검색시스템'으로 대조해보니 자기소개서 236건이 다른 사람의 것과 절반 이상 유사했다. 교사추천서는 더 심각해 유사도 90% 이상인 경우가 163건이나 됐다. 이런 엉터리 자료들로 학생들을 선발했다니 입학사정관제의 공정성에 의문을 갖지 않을 수 없다. 지난해 장애인 성폭행 사건에 연루된 사실을 숨긴 채 '봉사왕'이라는 내용의 교사추천서를 내 합격한 서울 모 대학생과 유사한 경우가 비일비재하다는 얘기다.
입학사정관제는 사교육을 줄이려고 이명박 정부가 2008년 도입한 정책이다. 학업성적이 아닌 학교생활과 잠재력, 소질 등을 평가해 대학진학의 길을 열어주자는 취지였다. 그러나 정부가 대학에 인센티브를 주는 등 도입을 지나치게 밀어붙이면서 부실운영은 예고된 것이었다. 입학사정관제 선발인원은 첫해 4,555명에 불과했으나 내년도에는 10배 이상 증가한 4만9,188명을 뽑는다. 전체 대학 모집 정원의 12.9%에 이르는 규모다.
입학사정관제에 내실을 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전형자료의 신뢰성을 높여야 한다. 교육당국의 관리감독은 물론이거니와 엉터리 서류를 작성해 제출한 교사와 학생들에 대해 불이익을 주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대학들도 학생을 제대로 평가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 이번 감사에서 드러났듯이 입학사정관 1명이 평균적으로 학생 687명을 심사하는 식으로는 심도 있는 평가는 애당초 불가능하다. 고교와 대학 사이의 신뢰가 무너지면 입학사정관제의 존립 근거가 그만큼 줄어든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