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북한의 북측 노동자 전원 철수로 사실상 잠정 중단에 들어간 개성공단은 2004년 첫 시범 가동 이후 9년간 남북교류의 상징적 역할을 해왔지만 그 기간 내 통행 인원이 축소되고 우리 측 직원이 억류되는 등 적잖은 우여곡절을 겪었다.
개성공단의 출발점은 2000년 현대아산과 북측 간 공업지구개발에 관한 합의서 채택이 이뤄진 시점이다. 이후 한국토지주택공사가 현대아산, 북한과의 3자 합의를 통해 북측으로부터 50년간 토지 사용권을 확보한 뒤 2004년 15개 회사가 입주계약을 체결하고 그 해 첫 제품을 생산하면서 남북 합작 개성공단 시대의 본격 개막을 알렸다.
이후 개성공단은 123개의 기업이 입주하고 지난해 4억6,950만달러의 생산액을 기록할 만큼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해왔지만 이명박정부 들어 남북관계가 경색되면서 순탄치 않은 길을 걸어야 했다.
북한은 2008년 우리의'3통(통신·통관·통행) 합의' 불이행을 주장하며 개성공단에서 우리 측으로의 인력·물자 통행시간 제한을 통보했다. 같은해 12월1일에는 개성공단 상주 체류 인원을 880명으로 제한했고 남북 통행 시간대와 통행 허용 인원 등을 축소시키는 '12ㆍ1조치'를 내렸다.
이후 2009년에는 탈북 책동과 체제 비난 등을 이유로 개성공단 현대아산 직원인 유성진씨가 136일 동안 억류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결국 현대그룹 현정은 회장이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면담한 이후 유씨가 석방됐고 '12ㆍ1조치'도 해제되면서 일시적인 화해 분위기가 조성됐다.
하지만 2010년 북한의 천안함 폭침 이후 우리 정부가 발표한 5ㆍ24 대북 제재 조치로 개성공단에 대한 신규 투자가 금지되면서 다시 삐걱거리기 시작했다. 같은해 북한의 연평도 포격사건 이후에는 개성공단 출입이 일시 금지되기도 했다.
잠잠하던 개성공단의 시련은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재연됐다. 북한은 지난달 27일 개성공단 입출경 채널로 사용된 남북간 군 통신선을 차단한 데 이어 지난 3일에는 개성공단 통행을 차단하고 남측으로의 귀환만 허용했다. 이후 식자재와 원자재 반입이 금지되면서 조업을 중단하는 업체들이 속출했다.
이후 이날 김양건 당 대남담당 비서가 개성공단 방문 후 담화를 통해 처음으로 북측 근로자들의 전원 철수 조치를 취하면서 9년 만에 개성공단은 가동이 중단되는 상황을 맞게 됐다.
김성환기자 bluebird@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