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시아는 동서 세계를 잇는 중간지대로 오랜 세월 인도와 중국의 영향을 받았고, 대항해 시대 개막 이후에는 포르투갈ㆍ네덜란드ㆍ영국 등 서구 문화를 받아들였다. 이 지역에는 중국 인도 등의 남성과 말레이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 후손들이 적지 않다. 이들을 말레이어로 페라나칸(Peranakan)이라고 부른다. 싱가포르에서는 페라나칸들이 많고 역사도 깊어 고유 문화로 자리잡았다.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영나)은 19일~5월 19일 상설전시관 1층 특별전시실에서 ‘싱가포르의 혼합문화, 페라나칸’특별전을 연다. 싱가포르 국립문화유산위원회와 아시아문명박물관 소장품 230점이 소개된다.
박성혜 박물관 학예연구사는 “이번 특별전에서 페라나칸 혼합문화를 통해 동남아의 문화적 다양성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별전은 싱가포르 페라나칸들이 다른 문화를 어떻게 수용하고 혼합해 독특한 양식으로 토착화했는지를 5부로 나눠 살펴본다. 제1부는 ‘믈라카에서 온 신랑 신부’로 꾸민다. 중국식 복장을 한 신랑과 자수와 구슬공예로 장식한 화려한 예복을 입은 신부가 관람객을 맞는다. 12일간 열리는 페라나칸 혼례의 첫날 모습을 보여주는 코너다.
제2부 ‘페라나칸의 혼례: 중국의 영향’에서는 혼례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혼례침실을 소개한다. 혼례침실은 페라나칸 공예미술의 정수(精髓)다. 제3부는 ‘뇨냐의 패션: 말레이의 영향’을 정리한다. 페라나칸 여성은 말레이 전통 옷인 사룽(sarong)과 케바야(kebaya)를 입고, 케로상(kerosang)이라는 화려한 보석 장신구를 더한다.
제4부 ‘서구화된 엘리트: 유럽의 영향’에서는 유럽 문화를 적극 수용했던 페라나칸의 모습을 살펴본다. 페라나칸은 영어를 배우고 서구식 복장을 했으며, 테니스나 크리켓 등을 즐겼다. 마지막 제5부는 ‘페라나칸 공예미술’을 위한 코너로, 여성들의 자수와 구슬 세공품, 신부용으로 따로 주문 제작한 도자기인 뇨냐자기를 만난다.
권대익기자 dkwo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