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YS는 '군화 대신 등산화' 盧는 '386'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YS는 '군화 대신 등산화' 盧는 '386'

입력
2013.03.17 17:36
0 0

역대 정부에서 개국 공신이나 특정 인맥 등에 의존한 코드ㆍ연고 인사는 고질적인 병폐로 지적돼 왔다.

'문민 정부'를 표방한 김영삼정부는 '하나회'를 척결하면서 군인 출신들을 각종 인사에서 배제했다. 대신 김영삼 대통령을 따르던 상도동계를 비롯해 '민주산악회'와 '나라사랑운동본부'(나사본) 등 사조직 출신 인사들이 정부와 산하기관에 대거 배치됐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해당 기관에선 "군화가 퇴장하니 등산화(민주산악회 출신)가 대신한다"는 비아냥이 돌았다. 김 전 대통령은 첫 내각 인사에서 전북 무주 출신 황인성 총리를 기용, 지역 안배에 신경을 썼으나 요직에는 부산ㆍ경남(PK) 출신 인사를 중용하면서 '동문회(경남고) 인사'라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여야 간 첫 정권교체로 탄생한 김대중정부는 '호남 편중 인사' 논란에 휘말렸다. 김대중 전 대통령도 첫 내각 인사에서는 김종필(충남 부여) 총리, 김중권(경북 울진) 청와대 비서실장을 기용, 지역 안배에 신경을 썼다. 그러나 권력기관장 등 요직에는 호남 인사를 중용했다. 군사정권 이후 소외돼 왔던 호남 출신을 배려한다는 명분이었지만 당시 영ㆍ호남의 인구 비중을 감안하면 과도한 배려였다는 지적이 적지 않았다. 또 정권의 공동 축이었던 자민련과의 '나눠먹기 인사'란 비판도 있었다.

노무현정부는 전문성이나 경력보다 이념 성향을 중시해 '코드 인사'란 비판을 받는 경우가 많았다. 그 동안 비주류에 속했던 386 운동권 출신, 진보성향 시민사회단체 인사들을 대거 중용했기 때문이다. 당시 정찬용 청와대 인사수석은 "220V에 110V 코드를 꽂으면 타버린다. 그런 점에서 코드가 맞아야 한다"며 '코드 인사' 기조를 강조했다. 또 친노 성향 인사들이 요직을 돌고 돌아 '회전문 인사'라는 말도 생겨났다.

이명박정부는 첫 내각 인사부터 '고소영'(고려대ㆍ소망교회ㆍ영남 출신), '강부자'(강남 땅부자) 논란이 일었다. 특히 국정원장ㆍ법무부 장관ㆍ대통령 민정수석ㆍ검찰총장ㆍ경찰총장 등 사정 라인 대부분을 영남 출신으로 채웠다. 뿐만 아니라 'S라인'(서울시장 재직 시절 관료), '영포(영일ㆍ포항) 라인'이란 유행어가 생길 정도로 학연ㆍ지연 등 사적 채널에 의존한 인사가 잦아 잡음이 끊이지 않았다.

김회경기자 herme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