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26일 "북한의 핵무장은 결코 용인할 수 없다"며 "북한의 도발에 대해 한미 공조를 바탕으로 국제사회가 단호히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특사인 톰 도닐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장관급)의 예방을 받고 이같이 강조한 뒤 "앞으로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양국이 긴밀히 협력해 나가자"고 말했다.
이에 오바마 대통령의 최측근인 도닐런 보좌관은 "미국의 한국에 대한 방위 공약은 확고하다"며 "북한의 도발에 대한 대응은 물론 북한 비핵화를 포함한 대북 정책 전반에서 한미간 긴밀한 공조가 중요하다"고 화답했다.
하지만 박 대통령은 이날 30분 간의 면담에서 한미 양국의 현안인 원자력협정 개정 문제는 언급하지 않았다. 지난달 16일과 이달 1일 각각 미국 정부와 의회 대표단을 접견한 자리에서 협정 개정의 시급성을 강조하며 미국 측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한 것과는 다른 모습이었다. 다만 박 대통령은 "지난 60년 동안 쌓아 온 양국 간 굳건한 신뢰를 바탕으로 21세기형 포괄적 전략동맹을 발전시키기 위해 함께 노력하자"고만 언급했다.
한미 정상회담 개최와 관련, 도닐런 보좌관은 "가능한 이른 시일 내 박 대통령의 미국 방문이 이뤄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고, 박 대통령은 "오바마 대통령과 조기에 만나 양국 협력 방안에 대해 긴밀히 협의하기를 기대한다"고 답했다. 내달에는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의 방한이 예정돼 있다. 따라서 박 대통령의 미국 방문을 통한 정상회담이 이르면 4월쯤 이뤄질 전망이다.
박 대통령은 전날 중국, 일본, 러시아 특사에 이어 이날 미국 특사까지 접견하면서 취임 후 주변 4강 외교를 마무리했다.
한편 박 대통령은 이날 얀 엘리아슨 유엔 사무부총장을 접견한 자리에서 "북핵 위협을 해결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이 중요하다"면서 "북한 도발에 대해서는 강력히 대응할 것이지만, 대북 인도적 지원과 북한의 호응을 기초로 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추진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이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후 이어진 대북 강경 기조 속에서 대북 인도적 지원을 언급한 것은 처음이다. 박 대통령은 또 "한국이 오늘날의 성취를 이루는데 국제사회의 도움이 있었다"면서 "한국이 경험했던 농촌개발계획이나 새마을운동을 공유하면서 개발 원조를 하는데 일조하겠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데이비드 존스턴 캐나다 총독, 후쿠다 야스오 전 일본 총리, 쿠엔틴 브라이스 호주 총독 등 대통령 취임식 참석차 한국을 찾은 19개국 정상급 인사와 사절단을 잇따라 만났다. 오전9시30분부터 오후6시20분까지 각각 15분, 20분 단위로 릴레이 접견을 계속한 박 대통령은 취임 후 이틀 동안 24개국 사절과의 면담을 소화했다.
김광수기자 rolling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