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정부 초대 인사ㆍ사정 라인의 출신 지역을 살펴보면 각 정부마다 편차가 존재했다.
김대중정부는 호남과 충청을 대표하는 김대중ㆍ김종필(DJP) 연합으로 탄생한 만큼 지역 안배에 초점을 두고 초대 총리와 대통령 비서실장을 임명했다. 자민련 총재였던 김종필 국무총리는 충남 부여 출신이었고, 김중권 비서실장은 경북 울진 출신이었다.
하지만 인사ㆍ사정 라인에는 박상천(전남 고흥) 법무장관, 박주선(전남 보성) 법무비서관 등 호남 인맥을 중용했다. 당시엔 박 법무비서관이 인사ㆍ민정 비서관 역할을 총괄했다. 특히 이들은 광주고, 서울대 법대 동문이었다. 게다가 김영삼정부 임기 말에 임명됐던 김태정 검찰총장도 광주고, 서울대 법대 동문이어서 특정 학교 인맥이 사정 라인을 장악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노무현정부는 초대 인선에서 고건(전북 옥구) 총리 문희상(경기 의정부) 비서실장, 강금실(제주) 법무장관을 기용했다. 또 김대중정부에 비해 보다 체계적인 인사검증 시스템을 갖추기 위해 당선인 시절부터 청와대 인사보좌관을 두었다. 이에 따라 청와대 초대 인사ㆍ사정라인은 경남 거제 출신의 문재인 민정수석과 전남 출신의 정찬용 인사보좌관(이후 인사수석)이 나눠 맡았다.
반면 이명박정부는 영남 인사들을 대거 발탁하면서 '지역 편중 인사'라는 비판을 받았다. 한승수(강원 춘천) 총리를 제외하면 류우익(경북 상주) 대통령실장과 김경한(경북 안동) 법무장관, 이종찬(경남 고성) 민정수석이 영남 인사였다. 이명박정부 5년 내내 인사라인을 도맡았던 김명식 청와대 인사비서관(이후 인사기획관)도 경북 청도 출신이었다. 이같은 구조는 청와대 초대 인선부터 '고소영'(고려대ㆍ소망교회ㆍ영남 출신) 인사라는 비판을 자초했다.
김회경기자 herme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