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삐 풀린 망아지'라더니 요즘 생활물가 뛰는 모습이 꼭 그렇다. 간장ㆍ고추장부터 수도ㆍ가스요금에 이르기까지 자고 나면 오르지 않는 게 없을 정도다. 급기야 기획재정부와 농림수산식품부는 어제 주요 가공식품업체 임원들을 만나 가격안정을 위한 협조를 부탁하니 어쩌니 하며 부산을 떨었지만 곱게 보이질 않는다. 정작 새 정부 출범을 앞둔 과도기를 틈타 은근슬쩍 물가의 고삐를 푼 게 정부고, 기다렸다는 듯이 오른 게 공공요금이기 때문이다.
정권 말 생활물가 상승의 물꼬를 튼 건 전기요금이다. 지난해 8월 평균 4.9% 올렸지만, 대선이 끝나자 불과 5개월 만인 지난 1월에 4% 이상을 또 올려 산업용 요금의 경우 1년 새 18%나 치솟게 됐다. 한국전력 적자 누적과 전력 과소비 예방 등 명분이 없진 않았지만, 인상 폭과 시기를 적절히 관리하는 데는 실패한 행정이었다. 공공요금 인상 충격을 감안하지 않은 '땜질행정'은 전기요금에 이어 수도ㆍ가스요금까지 몰아치듯 올리는 무신경으로 이어졌다.
공공요금 인상 여파는 버스요금, 영화관람료 등을 거쳐 이달부턴 식품가격 상승으로 확산됐다. 환율 하락과 수요 부진으로 생산자물가는 최근 4개월여 동안 계속 떨어졌지만, 공공요금 인상이 빌미가 된 것이다. 당장 다음달부터 고속ㆍ시외버스 요금이 4.4~7.7% 오르고, CGV는 영화관람료를 10% 이상인 1,000원씩 올렸다. 간장ㆍ고추장ㆍ된장 가격이 최근 10% 내외 올랐고, 밀가루가 8~9%, 김치제품이 7% 이상 뛰었다. 여기에 지난 연말 소주 출고가격이 일제히 9% 가까이 오른 걸 감안하면 서민생활과 직결된 주요 요금과 가격이 대략 7% 이상 급등한 셈이다.
물론 지금은 물가상승이 거시경제에 악영향을 주는 국면은 아니다. 지난 3년 간 2~4%의 낮은 물가상승률을 유지해왔던 점을 감안할 때 일부 '가격 현실화' 요구를 무시할 수 없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가뜩이나 경기 부진에 가계소득이 위축된 상황에 생활물가 급등의 쓰나미가 닥치도록 방치한 당국의 무신경과 직무유기는 비난 받아 마땅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