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최대 과제는 기술혁신을 위한 독자적인 연구개발(R&D)역량을 갖추는 것이다."
김세종(53ㆍ사진) 중소기업연구원 연구본부장은 15일 "인력과 정보력에서 대기업에 밀리는 중소기업이 고유의 기술력마저 없으면 생존자체가 불가능하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중소기업들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드는 R&D를 정부의 도움 없이는 추진할 엄두도 내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현재 독자적인 R&D 역량을 갖춘 곳은 300만 중소기업 가운데 0.025%에 불과한 8,000개 내외. 그나마 이들 기업도 덩치를 키워 중견기업으로 성장하는 순간 정부로부터 R&D혜택을 전혀 받지 못하게 된다. 그러다 보니 정부의 지원을 계속 받기 위해 일부러 중소기업으로 남으려는 '피터팬 신드롬'도 생긴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김 본부장은 중소기업의 R&D역량 강화를 위해 정부차원의 체계적인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는 "2011년의 경우 중소기업에 1조9,000억원, 대기업에 1조3,000억원의 R&D지원 예산이 투입됐는데, 스스로 제 앞가림을 할 수 있는 대기업을 지원해 주지 말고 이를 중소기업 지원으로 돌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러나 정부가 "아무리 정책적으로 뒷받침해도 당사자인 중소기업들이 정부의 우산 아래 머물며 기술개발을 외면한다면 아무런 효과가 없는 만큼 무조건적 지원이 아니라 자립의지가 강한 기업들을 골라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우리 중소기업이 중견기업, 나아가 글로벌 기업으로 발돋움하려면 해외 강소기업의 사례를 벤치마킹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김 본부장은 "중앙정부가 모든 걸 해결하려는 우리나라의 '톱다운'방식과 달리 히든 챔피언이 많은 독일은 지방자지단체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독일 강소기업들은 연고 지역 대학과 산학협력을 통해 공동 R&D를 진행하고, 지역 대학 출신의 인재를 채용해 경쟁력을 끌어올리고 있다는 것. 그는 "우리나라도 기업과 대학, 인재를 집적시키는 '지역 클러스터'를 조성해 지역 특색을 지닌 강소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주희기자 jxp938@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