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윤리적비판의기준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윤리적비판의기준

입력
2013.01.28 12:00
0 0

하나의 가상적 상황. 당신이 오랜만에 한 친구를 만난다. 다른 일정도 많은 바쁜 날이었지만 반가운 마음에 일찍 서둘렀고, 약속된 카페에 제 시간에 도착했다. 만나기로 한 그 친구는 아직 오지 않았다. 5분을 기다리고 10분을 기다린다. 그래도 오지 않는다. 핸드폰으로 문자를 보낼까 하다가, 아직 그럴 필요까지는 없다고 생각하고 조금 더 기다려보기로 한다. 20분이 넘어간다. 이런 경우에는 그가 나에게 전화를 하든가 혹은 문자 정도는 보내서 양해를 구해야 하는 것 아닌가, 생각하니 은근히 서운하고 화가 난다. 전화를 하려는데 마침 그 친구가 나타났다.

그런데 당당하게 자신의 커피를 주문하는 이 친구의 표정에는 미안함이 전혀 배어 나오지 않는다. 서운하다. 은근히 화가 나기까지 한다. 그냥 넘어갈 수도 있지만, “차가 많이 막혔나? 오는 길에 조금 늦는다고 문자 하나는 보내는 게 좋았잖아” 정도는 말할 수 있다. 당연히 여기까지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그러나 당신이 이를테면 짜증스러운 표정을 지으며 우리 사이에 20분이 넘게 지각을 하면서 미리 연락도 하지 않는다는 것은 도저히 그냥 넘어갈 수 없는 치명적인 잘못이라고 테이블을 주먹으로 내리치면서 이야기한다면, 그 순간부터 윤리적 비판의 칼날은 당신에게로 향하게 된다. 상대방이 잘못을 저지르기는 했지만 당신은 순간적인 분노를 조절하지 못하고 그가 저지른 잘못의 크기에 비해 터무니없이 과도한 비난을 퍼부었기 때문이다.

이런 일은 아주 빈번하게 일어난다. 상대방이 옳지 못한 행동을 했다는 판단이 일단 내려지면 이는 자신이 상대방보다 도덕적으로 우월한 지위에 놓이게 되었다는 자의식으로 이어진다. 이를 일종의 윤리적 교만함이라고 부를 수 있다. 이때부터 쉽게 이 지위를 남용하게 된다. 그래서 많은 경우 자기 통제력을 상실하고 적합한 비판의 한계를 넘어선다. 도로에서 운전자들이 경적소리를 요란하게 울릴 때는 단순히 앞차가 느리게 간다거나 진로를 방해하는 경우가 아니다. 앞차가 ‘도덕적으로 옳지 못한 행동’을 했다고 판단했을 때 경적을 자신 있게 눌러대며 타인을 비난한다. 자기만 빨리 가겠다고 이른바 꼬리 물기로 교차로 안으로 들어와서 다른 차량의 통행을 방해한다든지 아니면 차선을 지키면서 오랫동안 기다려온 차들 앞에서 갑자기 끼어들기를 시도한다든지 하는 등 ‘이기적’으로 규정된 행동들이 다른 운전자들의 격한 반응을 이끌어 내는 것이다.

타인을 비판할 때 우리는 그 잘못을 단순한 일회적인 실수로 여기지 않는다. 해석에 해석을 거듭하고 숙고에 숙고를 더하여, 내가 마주친 상대방의 부도덕은 단순한 실수가 아니라 그 사람의 본질적인 결함이 표현된 결과라는 자의적인 해석에 이르게 된다. 만일에 동일한 잘못을 내가 저질렀다면 그것은 거의 아무런 문제도 되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나 자신의 잘못은 일회적인 실수일 뿐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많은 경우 나의 부도덕은 특수화시키고 타인의 부도덕은 일반화시킨다. 이것이 ‘내가 하면 로맨스이고 타인이 하면 불륜’이라는 말의 뜻이다.

일정한 나이가 지나게 되면 자기 자신에 대한 스스로의 판단과 타인의 판단은 대개의 경우 크게 어긋나지 않는다. 외모나 교양이나 학식이나 재능에 대해 내가 스스로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생각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대체로 동의할 것이다. 그러나 윤리적 수준에 대한 평가의 영역에서 나 자신에 대한 평가와 타인에 대한 평가는 가장 많이 달라진다.

그러나 윤리는 이것을 이겨내야 한다. 윤리는 지극히 상호적인 것이다. 나 자신에 대해서 보편적인 기준을 정확히 적용하는 것이고, 나의 기준을 그대로 타인에게 가져가는 것이다. 이것은 매우 오래된 윤리적 격률인 ‘황금률’로 표현되어 왔다. 내가 남에게 바라는 대로 남에게 해주는 것, 그것이 도덕에 대한 가장 본래적인 통찰 중의 하나이다. 내가 싫은 것은 남도 싫어하니 시키지 않아야 하고, 내가 원하는 것은 남도 원하니 그대로 해주어야 한다. 자기 자신에만 특별히 도덕적 가중치를 부여하는 사람, 그것이 비윤리적인 사람의 본질이다. 모든 사람은 특수하지만 그 누구도 특별하지는 않다. 우리 사회에서 타인에 대한 윤리적 평가는 여기에서 시작해야 한다.

김수영 로도스출판사 대표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