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지자체들이 '영어' 탓에 등골이 휠 판이다. 영어마을이 없는 지자체는 영어캠프를 운영하느라, 영어마을을 운영 중인 지자체는 운영적자를 메꾸기 위해 연간 수억~수십억원씩의 예산을 투입해 재정부담이 만만치 않다.
20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광주시는 한국외국어대학과 계약을 맺고 150명을 대상으로 지난 7일부터 겨울방학 영어캠프를 개최했다. 시는 저소득 가정의 자녀 40명에게는 전액을, 나머지 110명에게는 참가비의 80%(자부담 28만원)를 지원했다. 시는 2008년부터 이번까지 모두 10회에 걸쳐 영어캠프를 열면서 16억2,500만원이 들었다.
화성시와 군포시 등 경기지역 10여개 지자체들도 매년 대학과 연계한 영어캠프를 운영하고 있다. 영어캠프 참가 비용은 지자체가 70~100%를 부담해 사업비만 연간 3억원 이상이 소요된다.
영어캠프가 큰 인기를 끌며 사업 확대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지만 지자체들은 오랜 경기 침체 여파로 세수가 줄면서 영어캠프 사업을 유지하는 것도 버거운 실정이다. 용인시는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여름 영어캠프를 운영하다 재정 상황이 악화되면서 사업을 중단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내 조성하려던 용인영어마을도 없던 일로 돌렸다. 시공사에 25억원의 배상금까지 물어주게 됐지만, 영어마을 운영 시 발생할 적자가 더 클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영어마을을 운영하는 성남시와 이천시도 재정적 부담이 크기는 마찬가지다. 성남시는 위탁업체 운영보조금 10억원을 포함해 시설 임대료 및 운영 경비 등으로 연간 26억원을 성남영어마을에 투자하고 있고, 이천시도 9억원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시설 보수비용은 늘고 자체 수입은 줄면서 운영비는 꾸준히 증가 추세다.
경기도가 운영하는 '경기영어마을 안산캠프'는 경영난에 허덕이다 결국 지난해 말 문을 닫았다. 파주와 양평캠프도 적자 운영을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교육사업을 예산의 잣대로만 평가할 수는 없지만 재정적 부담도 무시할 수 없다"면서 "이제 와서 지원을 중단하기도, 그렇다고 쌓이는 적자를 바라보며 계속 지원하기도 모두 부담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기중기자 k2j@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