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비상대책위가 대선평가위원회 등 주요 위원회 구성을 마쳤다. 비대위 출범 6일 만이자 대선 패배 이후 거의 한 달 만에야 실패의 원인 분석과 반성, 내부 개혁 준비를 갖추었으니 늑장 비난을 피해가기 어렵다. 아울러 비대위가 마주한 쇄신의 과제가 바로 그런 당 체질 개선임을 확인시켰다.
뒤늦게 틀이 갖춰진 대선평가위와 정치혁신위는 지난 대선 패배의 원인을 찾는 데 그치지 않고 당의 과거와 현재에 대한 긴 안목의 평가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방향성을 모색할 예정이다. 벌써부터 당내 '친노ㆍ주류'와 '비노ㆍ비주류'의 갈등 조짐 등 걸림돌이 우려되지만, 한상진 평가위원장이나 정해구 혁신위원장의 경륜에 기대를 걸 만하다.
민주당의 대선 패배는 특정 계파의 책임이기 어렵다. 친노 세력과의 합병으로 민주통합당을 이루고, 안철수 전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과의 단일화에 목을 맬 수밖에 없었던 사정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오히려 잇따른 당내 지적에서 보듯, 정치ㆍ사회 현실에 대한 자의적 해석과 이념ㆍ노선 및 정책 우선순위 설정의 오류 탓이 크다. 굳이 특정 계파의 책임을 든다면 '참여정부'와 열린우리당의 정치적 실패에 대한 반성의 고삐를 늦추었다는 정도다. 그러나 이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급서(急逝)를 계기로 조성된 국민적 분위기의 산물이지, 특정 계파의 자기이해 주장에 기운 결과가 아니었다는 점에서 결국 당 전체의 문제다.
최근 당내의 자체 진단도 눈길을 끈다. 정동영 상임고문은 "좌우의 문제가 아니라 아래로 가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다수 국민의 마음을 놓친 것을 대선 패배의 주된 요인으로 지적했다. 민병두 의원도 "50ㆍ60대에 소홀했던 것"을 패배 요인으로 들면서 "우리 정책과 맥락이 같다면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정책이더라도 앞장 서서 발의할 수 있어야 한다"고까지 주문했다.
사실은 이미 눈앞에 드러나 있는 셈이다. 따라서 민주당의 발본적 체질 개선에 진정으로 필요한 것은 사실 발견의 지혜가 아니라 다른 계파까지 감싸 안을 수 있는 포용력, 드러난 사실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용기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