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은 지금껏 대선 패배의 원인을 두고 논란만 거듭하고 있다. 친노(親盧) 책임론에서부터 야권연대 맹신이나 5060 세대 방기 등 여러 요인이 지적되긴 했지만, 딱히 어떤 부분이 주요 원인이라고 정리되지 않았다. 심지어 대선 평가를 맡길 외부인사조차 선임하지 못한 상황이다.
대선 패배의 원인 가운데 가장 논란이 큰 건 친노 책임론이다. 비주류 진영은 문재인 전 대선 후보가 이해찬 전 대표를 정점으로 한 친노 진영의 '보이지 않는 손'에 휘둘렸다고 주장한다. 이와 함께 "친노ㆍ주류가 총선 패배에 대한 반성 없이 대선에 나선 게 결정적이었다" 는 얘기와 함께 "문 전 후보가 의원직을 던지는 등 올인 하지 않았다" "안철수 전 후보에게 지나치게 기댔다" 등 문 전 후보 책임론도 나온다.
반면 친노ㆍ주류는 "대선 패배의 책임은 민주당 전체에 있다"고 반박한다. 일각에선 비주류가 뒷짐만 지고 있었다며 역(逆)책임론을 거론하기도 한다.
이 같은 입장 차이는 결국 당내에 뿌리 깊이 박혀 있는 계파 대립 때문이란 게 정설이다. 2011년 말 민주통합당 창당 때 '혁신과통합'으로 합류한 친노 진영이 다시 발언권을 획득하면서 그 이후 당내 친노ㆍ비노(非盧)의 대립이 일상이 됐다는 이야기다.
또 당의 노선이 너무 좌편향이었다는 지적도 있다. 하지만 486 의원들을 중심으로 "잘못된 진단일 뿐만 아니라 당의 노선과 정체성을 훼손하는 것"(김기식 의원)이란 반론이 만만찮다. 그러다 보니 "민생 문제에 있어서 유능한 대안 세력으로 부각돼야 한다"(민병두 의원)는 중간지대도 나타나고 있다.
"야권연대만 되면 승리할 것이란 지나친 낙관론이 문제였다"(김동철 비대위원)는 비판도 적지 않다. 이에 대해선 별다른 이견이 없는 상태다.
2030세대의 투표 참여에만 힘을 쏟으면서 5060세대를 방기했다는 자성에 대해서도 일정하게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투표율만 높으면 무조건 이길 것이란 지나친 낙관론이 문제였다는 지적과도 같은 맥락이다.
이들 지적들은 결국 '전략 부재론'으로 귀결된다. 한 초선의원은 "소위 '전략통'으로 불리는 몇몇이서 즉흥적으로 전략을 판단하다 보니 큰 줄기 자체가 오락가락했다"고 말했다. 문 전 후보의 유세 기조가 '유신 잔재론'으로 시작했다가 '정권교체론'으로 가더니 뜬금없이 '새정치론'으로 흘러갔던 걸 지적한 얘기다.
한 의원은 "종편 출연 여부 같은 작은 얘기 말고 전략과 조직 운영, 공약의 현실성 등을 면밀하게 살펴봐야 한다"면서 "과감하게 메스를 들이댈 수 있는 외부 인사를 선임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정대기자 torch@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