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외교안보통일 분과 최대석 위원의 돌연한 사퇴를 둘러싸고 갖은 억측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당사자인 최 전 위원이 외부 접촉을 끊고 잠적한 가운데 윤창중 인수위 대변인은 어제도 "일신 상의 이유"라는 당초 설명에서 한 치도 나아가지 않아 궁금증을 한층 키웠다. 대통령직 인수위원의 도중 하차라는 초유의 사태에 대해 국민들이 그 배경을 알고 싶어하는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일신상 이유를 들어 함구로 일관하는 것은 국민에 대한 예의도, 도리도 아니다.
사퇴 이유를 공개하면 한 개인으로서 너무나 많은 피해를 입게 된다는 해명은 옹색하다. 그는 단순한 개인이 아니라 정권 인수인계 과정의 역할로 국민의 비상한 주목을 받고 있는 공인이다. 그런 인사의 임명과 사퇴는 국민이 납득할 만한 설명이 있어야 한다. 사퇴 배경을 얼버무리는 게 최 전 위원 개인을 위하는 일도 아니다. 갖가지 악성 억측이 난무하는 것이야말로 개인의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탓이다.
이화여대 통일학연구원장인 최 전 위원은 7~8년 전부터 박근혜 당선인의 대북정책 자문을 해왔다. 박 당선인 싱크탱크인 국가미래연구원 발기인, 대선 선대위 국민행복추진위 외교통일추진단 위원 등으로도 활동했다. 이런 인연에도 박 당선인이 그의 사퇴를 받아들인 데는 단순한 개인사정 이상의 사유가 있다고 볼 수밖에 없다. 보수성향이면서도 비교적 유연한 대북 입장을 취해온 그에 대한 내부 견제와 갈등에 보다 무게가 실리는 것도 그 때문이다.
그런 내부 갈등이 알려지는 것을 꺼리는 게 사퇴 배경 함구의 진짜 이유인지도 모르겠으나 그럴수록 정확한 설명이 필요하다. 새 정부 정책 방향을 잡아 가는 과정의 갈등이나 노선 경쟁을 투명하게 알릴 때 국민들의 정책 이해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최 전 위원 사퇴 배경 함구는 인수위 출범 전후부터 문제가 된 깜깜이 인사, 철통 보안, 브리핑 기피 등 소통부재와 국민의 알 권리 무시와 같은 흐름이다. 국민과의 진정한 소통을 거부하는 오만과 아집이 불러올 엄중한 사태를 아직 깨닫지 못한 탓이라면 새 정부의 앞날은 암담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