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양국 정상간 외교셔틀이 복원되고 통화스와프 체결 등 경제분야의 교류가 활성화하면서 참여정부에서 경색된 관계가 상당부분 회복되는 듯 했다. 하지만 현정부 말기에 이르러 일본 측에서 독도영유권 주장을 잇달아 제기하면서 우경화로 치닫자 양국 관계는 급속 경색됐다. 여기에 지난해 8월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과 함께 일왕에 대한 사죄 요구 발언 등으로 한일 관계는 꼬일 대로 꼬여있는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달 일본 총리에 오른 아베 신조 자민당 총재가 올해 초 주변국 중에서는 가장 먼저 박근혜 당선인에게 특사를 보내며 화해 제스처를 취했다.
또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 등 한일의원연맹 소속 의원들이 10일 일본을 방문했을 때에도 아베 총리는 거듭 관계 개선을 희망하는 언급을 했다. 중국과의 영유권 갈등을 빚고 있는 상황인 만큼 미국과 한국의 공조를 바탕으로 한 3국 연대를 통해 동북아 문제 등에 대처하겠다는 의도가 엿보인다.
그런 만큼 박 당선인에게는 한일 관계 복원과 함께 향후 한일 관계 진전을 위해 역사적 문제를 어떻게 풀어 갈지가 중요한 숙제로 남겨져 있다.
그러나 박 당선인은 당장 한일 관계 복원에 나서지는 않을 태세다. 박 당선인은 지난 4일 일본 총리의 특사단을 만나는 자리에서도 "역사를 직시하면서 화해와 협력의 미래를 지향하고, 이를 위해 양국 간에 꾸준히 신뢰를 쌓아나가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일본 측에게 '선(先) 태도 변화, 후(後) 신뢰 회복 가능'을 강조한 것이다.
이에 따라 향후 한일 관계도 앞으로 일본이 보일 태도에 상당 부분 달려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박 당선인 측은 "일본의 역사 왜곡 등의 문제에 대해서는 박 당선인의 의지가 강경하다"며 "다만 한일 관계를 위해 조심스럽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러시아와도 차기 정부는 자원 외교 등을 염두에 두고 더욱 관계를 강화하겠다는 자세다. 북한의 위협 수위가 높아지고 있는 만큼 균형추로서의 러시아 역할에도 기대하고 있다.
러시아 입장에서도 중국에 비해 대북 관계의 영향력이 현저히 줄어들고 있는 점을 감안, 경제분야 등 특정한 분야에서는 우리 측과 보조를 같이하면서 자국의 이익을 꾀할 가능성이 있다.
김현우기자 777hyunwoo@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