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당선인 측이 국무총리 후보자를 20일을 전후해 발표할 전망이다. 역대 인수위 운영 사례와 국회 인사청문회 소요 기간, 새 정부 출범일 등을 고려한 행정안전부의 '인수위 운영 개요'에 따른 관측이다. 박 당선인의 총리 후보 물색이 본격화했고, 이런저런 하마평도 무성하다.
지금까지 호남 출신의 진념 전 경제부총리, 강봉균 전 재경부 장관, 한광옥 국민대통합위원장, 박준영 전남 지사와 충청 출신의 이인제 전 공동선대위원장, 이완구 전 충남지사 등이 자주 거론돼 왔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김영란 전 국민권익위원장이나 목영준 전 헌법재판소 재판관 등을 꼽기도 한다.
현재의 하마평은 박 당선인이 다짐한 대통합과 대탕평이 새 정부 요직의 지역균형 인사와 불가결하다는 인식이 널리 퍼진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대구ㆍ경북(TK) 출신은 되도록 배제하고, 가장 지지세가 약한 호남이나 중간색인 충청 출신을 우대해야 한다는 요구이다.
이런 요구는 따로 떼어놓고 보면 거의 당위처럼 비치지만, 거듭된'책임 총리' 다짐과 함께 놓고 보면 적잖은 의문을 부른다. 총리는 '대통령을 보좌하며, 대통령의 명을 받아 행정각부를 통할(統轄)한다'는 헌법 규정에 비추어 '책임 총리' 실현 여부는 전적으로 대통령의 뜻에 달려있다. 실제로 '책임총리'에 가장 가까웠던 이해찬 전 총리는 참여정부 탄생의 공신이자 정치적 동지로서 노무현 전 대통령의 특별한 신임을 받았기에 가능했다. 현재 거론되는 후보들 가운데 그 정도로 박 당선인 가까이에 있는 사람이 있는지 의심스럽지만, 설사 그런 인물이 있더라도 이번에는 바로 그 때문에 출신 지역을 대변할 만한 상징성을 곧바로 잃게 된다.
따라서 지역균형과 책임총리 요건을 동시에 충족할 후보를 고르기는 결코 쉽지 않다. 박 당선인이나 지켜보는 국민이 출신 지역 등 외형적 요건에 매달리다가는 결국 무늬만의 책임총리를 만나기 쉽다. 그런 외형적 규격을 과감히 버리고 일반적으로 상정된 박 당선인의 이념ㆍ노선과의 거리를 기준으로 삼을 수 있어야만 선택 폭도 커지고, 사후 평가도 나아진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