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가 새 정부 출범을 맞아 실시한 설문조사는 정치ㆍ경제ㆍ사회분야에서 개선을 바라는 25가지 항목 중 5가지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상위 5가지 주제 이외에 행복의 조건으로 국민들이 바란 것은 공정한 사회에 대한 갈망이었다. 1,048명 응답자 중 26.3%가 '신뢰 잃은 검찰에 대한 대대적인 개혁'을 선택, 6위에 올랐다.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없어 보이는 주제인데도 높은 순위에 오른 것은 권력형 비리에 대한 공분, 정의실현에 대한 욕구가 충만하다는 증거다. 주관식 응답에도 '공직 사회의 부정부조리 추방', '공무원 정치인 부정 척결' 등이 포함됐다.
'저녁이 있는 삶'이란 표어가 상징하는, 여가에 대한 희망도 절실했다. '장시간 근로환경 개선'(20.8%)에 대한 응답률이 8번째다. '열심히 일해 잘살아 보자'는 구호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시대에 접어든 셈이다. 하지만 생산성 제고와 근로관행 개선 등이 없이는 해결할 수 없는 과제여서 노사정이 함께 풀어야 한다.
청년 일자리 창출이 행복의 조건 2위로 꼽힌 데 이어 '노인 일자리 창출 및 노인 복지강화'(20.8%)도 7위에 올랐다. 특히 70대 이상 고령층은 10명 중 6명(59.0%)이 이를 선택해 절박한 욕구를 드러냈다. 복지수준이 선진국에 못 미쳐 은퇴 후 노후를 즐기지 못하는 노인빈곤 문제가 심각(노인빈곤율 OECD 평균의 4배)함을 실감케 했다.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18.8%)는 10위를 차지했다.
또 질 높은 공교육에 대한 호소가 절박했다. "선생님들이 팔짱만 끼고 평가만 하는 학교가 큰 문제"라며 "선행학습을 막아달라"는 30대 주부, "교사들이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지 않아 사교육에 의지할 수밖에 없다"는 40대 주부 등 학부모의 관심사는 역시 교육이었다.
이왕구기자 fab4@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