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한해 동안 한국일보 기자들은 '@hankookilbo'를 통해 독자들과 직접 만났다. 이 코너는 독자들이 기사에 대한 의견, 비판 등을 트위터, 페이스북 등 소셜미디어 서비스(SNS)나 인터넷 댓글을 통해 올리면 기자들이 취재 및 기사 작성 배경과 과정 등을 설명하는 식으로 꾸며진다. 기자들이 독자와 직접 만나는 쌍방향 소통 창구인 셈이다.
올해도 독자들은 기자들이 미처 생각하지 못한 부분을 날카롭게 지적해 주었다. 학교폭력 대책으로 제시된 복수담임제가 학교 현장에서 혼선을 빚고 있다는 소식을 전한 '두 선생님 모두 푸념ㆍ눈치… 겉도는 복수담임제'(3월 22일) 기사에 대해 한 독자(ID 감자깡)는 "선생님들이 애들 내버려두고 행정 일에만 몰두하는 현상은 승진체계나 성과급 기준이 행정업무에 맞춰져 있기 때문"이라고 밝혀왔다. 이에 기사를 쓴 김혜영 사회부 기자는 "기사는 제도 시행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미리 점검ㆍ검토하지 않은 채 새 정책을 밀어붙인 당국의 탁상행정을 꼬집은 것이지만 교사 승진 방식 등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현장에서 높아지고 있는 게 사실"이라고 독자 지적에 공감했다. 또 '고유가 상황에서 생활 속 에너지 효율을 위해 LED 전구 수요가 늘고 있다'는 기사에 한 트위터리안(@Jamesbond)은 "정부 시책으로 LED 전구나 형광등의 보급이 늘고 있지만 실상 투자 대비 조도는 그다지 좋지 않다" 는 점을 알려왔다.(6월 7일)
이 코너는 기사에 담지 못했거나, 그로 인해 생긴 오해를 해명하는 공간이기도 했다. '혼자 돌아가는 학교 CCTV…침입자에 무방비' 기사에 대해 한 독자(ID 누리왕자)는 "정보보안법 때문에 교사들도 CCTV 모니터링을 못하게 돼 있다"고 꼬집었고(10월 4일), 이에 김지은 사회부 기자는 "학교 CCTV는 개인정보보호법 아래 행안부 가이드라인에 따라 운영되는 것으로, 학교장 재량으로 모니터링 인력을 충분히 확보해야 하는데 이게 지켜지지 않아 문제가 생기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라고 이해를 구했다.
언론이 무심코 사용하는 관용어에 대한 비판도 이어졌다. 한국일보 팟캐스트 방송 '시사난타H'의 청취자 주지한님은 "'왕따'라는 표현은 자칫 피해자에 낙인을 찍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고 했고, 인터넷 ID 윤서방님 등은 '명품'대신 '사치품' 이라는 말을 쓰자고 제안했다. 내년에도 이 코너를 통해 독자와 기자들이 더 풍성하게 소통하기를 기대한다.
강희경기자 kstar@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