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 경제가 만들어낸 부가가치의 8.6%는 대(對)중국 수출에서 비롯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중국 수출에서 창출하는 부가가치는 2004년을 정점으로 내리막길을 걷고 있어, 중국의 급성장에 기대 중국 특수를 누렸던 과거 패턴을 벗어나야 한다는 지적이다.
LG경제연구원은 25일 내놓은 '향후 10년 중국 특수를 지켜내려면' 보고서에서 국내 경제의 총 부가가치 중 중국의 내수, 투자, 수출 수요가 얼마나 영향을 주었는지를 분석했다. 그 결과 중국의 최종수요 한 단위는 한국에 2000년 0.0104의 부가가치를 만들었으나 2004년 정점(0.0138)을 찍은 뒤 감소세로 돌아서 2009년엔 0.01까지 줄어들었다.
쉽게 말해 중국에서 1,000달러어치의 최종수요가 발생할 때 우리나라에 창출되는 부가가치는 2000년 10.4달러, 2004년 13.8달러였다가 2009년 10달러가 됐다는 얘기다. 한국이 중국시장에서 얻을 수 있는 부가가치 창출 효과가 정체된 셈이다.
반면 중국의 경제 규모가 커지면서 우리나라가 중국 경제에 기대는 비중은 그만큼 높아졌다.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을 100이라 가정했을 때, 중국의 비중은 2000년 2.51%에서 2009년 6.54%로 10년 새 2.5배 확대됐다. 우리 경제 성장률에 대한 중국의 기여율은 2001년 6%에서 2009년 298%까지 치솟았다. 보고서는 "2010, 2011년에도 중국에 의한 부가가치 유발 금액이 각각 743억달러, 908억달러로 우리나라 총 부가가치의 7.3%, 8.6%를 차지한다"고 추정했다.
그간 우리나라는 자체 내실보다 중국의 외형 확장 덕에 중국 특수를 누려온 셈이다. 그러나 중국이 성장 우위의 '세계 공장' 역할보다 내수 진작을 통한 안정적 소비 시장으로 변모하고 있어 중국 특수는 위축될 수밖에 없다.
박래정 수석연구위원은 "우리 경제에 대한 중국의 기여 속도는 현저히 둔화할 것"이라며 "핵심 기술이나 소재 부품 등 중간재 분야의 경쟁력을 확보하거나 중국의 최종소비재 시장에 직접 침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고찬유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