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18대 대선 직후 당선 인사의 일성으로 '대통합'을 강조했다. 이번 대선에서 세대ㆍ지역ㆍ계층 갈등이 분출했던 점을 감안한 국정목표 제시로 보인다. 특히 2030세대와 5060세대의 표심이 극명히 갈리면서 세대 간 갈등이 최고조에 달했다는 점에서 박 당선인은 대통령직인수위 단계에서부터 세대 갈등 치유에 역점을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2030세대의 반감과 5060세대의 몰표 동시에 고려해야
2030세대와 5060세대의 표심은 이념적으로 진보와 보수의 상반된 후보를 향한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실제로는 경제 위기로 인한 삶의 불안전성이라는 공통된 동기로 투표장에 나갔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5060세대는 은퇴 이후 막막한 생활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안정된 개혁을 선택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반면 취업의 문턱에도 가 보지 못한 2030세대는 사회 양극화에 대한 불만으로 정권 심판 대열에 합류했다.
때문에 이들의 불만과 분노를 함께 파악하지 못하면 사회통합은 쉽지 않다. 장덕진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는 "이번 선거에서는 지역보다 세대 변수가 더 결정적이었다"며 세대 갈등 치유를 국민통합의 최우선 과제로 제시했다.
특히 박 당선인이 5060세대의 전폭적 지지를 업고 승리하기 했지만 젊은층과 고령층의 표심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 정치평론가는 "5060세대의 지지에 안주해서 2030세대의 분노만 가라앉히면 된다는 식의 발상은 위험하다"고 말했다. 5060세대가 상대 후보에게 등을 돌린 정확한 이유를 간파하고 처방을 내놓지 못한다면 사회통합은 물 건너 간다는 것이다.
5060세대의 불안감 해소가 시급'
이번 대선에 나타난 5060세대의 표심은 '모든 게 불안하다'로 요약할 수 있다. 실제 대다수 5060세대는 경기 침체는 물론이고 북한의 로켓 발사, 진보진영의 과격한 주장 등 어느 것 하나 안심할 수가 없어서 안정을 선택했다고 밝히고 있다. 회사원 박모(57)씨는 "민주화도 이제 이뤄지지 않았느냐"며 "지나친 변화보다는 안정 속에서 점진적 변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5060세대의 불안감을 해소하지 않고는 사회통합이 어렵다는 지적이다. 손호철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은퇴 전후의 불안한 세대라는 특성을 가진 5060세대가 박 당선인을 지지한 것은 안보 문제나 통합진보당에 대한 반감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했다"며 "대선 이후 정책 방향에 따라 이들의 지지가 계속될 수도, 이탈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결국 '민생고 해결이 해법'이라고 입을 모았다. 손 교수는 "이명박 정부처럼 신자유주의 정책을 펴서 민생을 해결하지 못하면 이들의 지지가 부메랑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장 교수는 "명예퇴직 이후 자영업 시장으로 몰려가는 5060세대의 고충을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2030세대에게 우선 필요한 것은 일자리
2030세대가 이번에 느낀 정치적 좌절감은 어느 때보다 크다. 대학생 배모(23)씨는 "박 후보의 역사인식은 박정희 독재 시절의 그것과 비슷한데도 맹목적으로 지지하는 5060세대를 이해할 수 없다"고 불만을 표출했다. 때문에 민주주의를 후퇴시키지 않고, 권위주의를 해소하는 것이 2030세대의 불만을 잠재울 수 있는 해법으로 거론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또 2030세대의 좌절에는 미래에 대한 극도의 불안이 투영돼 있는 만큼 이를 해소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협소한 노동시장을 확대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다만 젊은 세대의 일자리 확충과 노년층의 정년 연장 요구 등은 서로 상충될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한 정책 조율이 필요하다. 박명호 동국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새 정부의 세대 갈등 해법은 복지와 일자리 분배가 핵심"이라며 "세대 간 타협과 공존을 이끌어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곤기자 jkkim@hk.co.kr
박석원기자 spar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