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인구 6명 중 1명은 연간소득이 1,000만원에도 못 미치는 '빈곤층'으로 나타났다. 특히 갈수록 늘어나는 1인 가구와 65세 이상 노인계층은 2명 중 1명이 빈곤층이다. 전체 가계의 부채 증가속도는 줄었지만 빚 진 가구는 더 늘었다. 양극화도 여전해 소득 상위 20%는 하위 20%의 13배를 벌고, 교육비는 28배나 더 썼다.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2년 가계금융ㆍ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 3월 현재 빚을 가진 가구는 전체의 64.6%, 이들의 평균 부채는 8,187만원이었다. 1년 전보다 부채규모는 1.2% 줄었지만 부채보유 가구는 1.8%포인트 늘었다.
지난해 가처분소득을 기준으로 본 빈곤율은 16.5%로 인구 6명당 1명 꼴이었다. 빈곤율이란 개인 가처분소득 중간값보다 절반 아래에 있는 사람들의 비율이다. 작년 이 기준인 998만원 이하 소득자가 빈곤층으로 분류됐다. 특히 노인으로만 이뤄진 노인가구(67.3%), 조부모와 손자가 사는 조손가구(59.5%), 1인 가구(50.1%), 65세 이상 노인층(49.4%)은 절반 이상이 빈곤층이었다.
소득과 지출의 양극화는 여전히 심했다. 지난해 전체 가구가 벌어들인 소득 가운데 절반(47.6%)은 상위 20%의 차지였다. 상위 20%의 연간 평균소득(1억65만원)은 하위 20%(758만원)의 13.3배에 달했고 가처분소득도 11.8배(8,032만원과 680만원)나 차이가 났다.
가계의 평균 소비지출은 2,311만원이었지만 상위 20%(4,354만원)과 하위 20%(745만원)의 소비는 5.9배의 격차를 보였다. 하위 60% 계층에선 주로 식료품ㆍ주거비 지출이 많았던 반면, 상위 40%는 식료품ㆍ교육비를 많이 썼다. 특히 교육비에는 상위 20%(868만원)가 하위 20%(31만원)보다 28배나 많이 투자했다.
빚을 진 가구들의 부담감도 상당했다. 금융부채를 가진 가구(995만 가구)의 68.1%(678만 가구)는 "원리금 상환이 부담스럽다"고 답했으며, 이들 가운데 79.6%(540만 가구)는 가계의 저축 투자 지출을 줄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체의 7%에 달하는 70만 가구는 "장기적으로도 자신의 부채를 모두 상환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고 270만 가구(34.1%)는 "대출기한을 넘길 것"이라 답했다.
김용식기자 jawohl@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