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 계층과 고령층일수록 물가 상승 부담이 가중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들 계층의 지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식료품 등 생활필수품과 의료서비스 가격 상승폭이 다른 품목보다 높기 때문이다.
17일 한국재정학회에 따르면 소득계층별 가계지출 품목 구성이 다른 점에 착안해 1990년부터 2011년까지 상ㆍ하위 소득 10% 계층의 '계층별 물가지수'를 분석한 결과, 하위 10% 계층의 상승률(133.2%)이 상위 10%(125%)보다 8.2%포인트나 높았다. 특히 계층별 격차는 물가 상승기일수록 벌어졌는데, 94년 3분기에는 하위 10% 계층의 상승률(7.0%)이 상위 10% 계층(6.1%)보다 0.9%포인트 높았다. 반면 물가 안정기인 99년 2분기에는 하위 계층(0.4%)의 상승률이 상위 계층(0.5%)보다 오히려 낮았다.
또 같은 기간 60세 이상 가구주 가계가 체감하는 물가 상승률이 60세 이하 가구보다 평균 0.11% 높았으며, 5인 가구 물가 상승률이 1인 가구보다 분기당 평균 0.32%가량 높았다.
재정학회에 이런 내용의 논문을 제출한 국회예산정책처 장인성 경제분석관은 "식료품을 비롯해 저소득층의 소비지출 가운데 상대적으로 비중이 더 큰 필수재 품목의 물가 변동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최근 불황 여파로 일반 가계가 허리띠를 졸라매면서 전체 가계소비 중 식료품비 비중이 최근 12년 새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은 이날 내놓은 '가계의 최종 소비지출 현황' 자료에서 3분기 가계소비 지출액(165조7,039억원) 중 식료품 지출액(24조1,946억원)이 전체의 14.6%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는 2000년 3분기(15.1%)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현대경제연구원 이준협 연구위원은 "불황이 지속되면 소비가 위축될 수밖에 없지만 필수재인 식료품비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며 "경기 침체 탓에 가계의 소비구조가 과거로 돌아갔다"고 지적했다.
조철환기자 chcho@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