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젯밤 이번 대선 마지막 TV토론은 이정희 통일진보당 후보가 사퇴한 가운데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와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의 양자 맞대결로 진행됐다. 1, 2차 토론에서는 3자 토론에 따른 시간제한과 이 후보의 튀는 발언으로 집중적이고 심도 있는 토론이 이뤄지지 못했다. 그에 비해 어제의 3차 토론은 ‘저출산ㆍ고령화 대책’ ‘교육제도 개선 방향’ 등의 주제를 놓고 양자 간 불꽃 튀는 공방이 벌어져 두 후보의 공약과 정책을 비교하고 후보 개인의 주요 정책 파악능력 등을 평가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됐다.
결국 양자 맞짱 토론 활성화에 대선 TV토론의 내실화와 개선의 방향이라는 얘기다. 우선 가능한 한 유력 후보간 양자토론을 유도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서는 TV토론 참여자격 문제를 합리적으로 풀어야 한다. 소수정파에 대한 기회 제공이라는 차원에서 일정한 자격을 충족한 군소후보의 TV토론 참여는 보장해야 한다. 그러나 이번처럼 지지율 40%가 넘는 두 후보가 대결을 펼치고 있는 상황에서 지지율 1% 안팎 후보가 참여해 토론의 집중도를 떨어뜨리는 일은 피해야 한다. 다소 논란은 있지만 최소한 지지율 10~15% 정도는 돼야 TV토론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준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토론 진행방식도 보다 자유로운 토론이 이뤄질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1, 2차에 비해 자유토론 비중이 늘어난 어제 토론은 재질문, 재반박 기회가 많아 한층 긴박감 있게 진행됐다. 하지만 미리 주어진 질문에 후보들이 준비된 답변을 읽는 형식은 그대로 유지돼 토론의 긴장도와 흥미를 떨어뜨렸다. 주제별 공통질문과 상호토론, 자유토론의 틀에 얽매이지 않고 쟁점 주제에 대해서는 사실상 끝장 토론이 이뤄질 수 있게 해야 한다. 그래야만 후보들의 정책과 역량 대해 보다 객관적인 판별이 가능해진다.
대규모 장외유세와 청중동원이 점점 어려워지는 추세에 비춰 TV토론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TV토론이 내실 있게 진행되어야 함은 물론이고 횟수도 늘려야 한다. 중앙선관위에 의한 법정 TV토론만이 아니라 개별 언론사 또는 중견 언론인 모임인 관훈클럽 등에 의한 양자토론이 활발하게 이뤄지게 해야 한다. 특히 이번에는 야권후보 단일화 문제로 대진표 확정이 늦어진 데다, 이를 빌미로 여당 후보가 TV토론을 기피하면서 앞선 대선에 비해 토론 횟수가 크게 줄었다. 이런 상황에도 대처할 수 있는 제도보완이 필요하다. 다음 19대 대선부터는 미국 못지 않게 내실 있는 대선후보 TV토론이 이뤄지길 기대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