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복지재단이 55세 이상 서울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평균 은퇴 나이가 52.6세다. 여자(49.7세)는 남자(54.6세)보다 5년 빠르다. 연령대별 퇴직시기도 점점 앞당겨져 65세 이상 연령대는 57.6세, 60~64세는 54.1세인 반면 50대 후반(55~59세) 연령대는 평균 48.5세로 조사됐다. '2011 서울서베이'에서 시민의 절반 이상(57.4%)이 은퇴 시기를 60세 이후로 예상했지만, 현실은 전혀 그렇지 못하다. 지난달 고용동향에서도 유독 50대만 실업자 수가 증가했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대부분의 조기은퇴가 자신의 의지나 선택과 무관하다는 사실이다. 62.2%는 앞으로도 계속 일하고 싶어하며, 특히 배이붐 세대인 55~59세는 70%나 됐다. 그러나 그들의 희망과 달리 50대의 절반 이상(52.9%)은 놀고 있다. 어렵게 다시 구한 일자리도 사무직(3.7%)이나 기능직(10%)보다는 판매직(40%)같은 단순서비스직이 많다. 전문성이나 적성과는 거리가 멀어 양질의 일자리가 아니라는 얘기다.
그나마 직장이라도 새로 구한 사람은 낫다. 경험도 없이 자영업에 뛰어들었다가 실패해 최빈곤층으로 떨어지는 경우도 부지기수다. 노후준비는 차치하고 당장 가정의 유지를 위해서라도 청년실업 해소 못지 않게 이들에게 일자리를 유지시켜주고, 확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차적으로 공무원과 공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불리한 민간기업의 정년부터 늘려야 한다. 굳이 고령화 시대를 들먹일 필요도 없다. 서울메트로 노조가 파업을 불사하며 요구한 것도 정년연장이었다.
다행히 박근혜ㆍ문재인 대선후보 모두 50대 일자리 안정을 위해 '60세 정년 법제화'와 함께 기업의 해고회피 노력 의무화, 고용유지 지원 확대 등을 약속하고 있다. 정년만 강제로 늘릴 경우 기업이 신규채용을 회피하는 등 부작용 또한 적지 않을 것이다. 임금피크제를 도입하거나 근로시간을 단축해 일자리를 나누는 방안 등이 적극 검토되어야 하는 이유다. 정년 연장과 청년고용 확대는 어느 쪽도 소홀히 할 수 없는 시대적 과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