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 부장검사급 검찰 간부가 다단계 사기범 조희팔의 측근과 대기업 측으로부터 거액을 받은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고 있다. 이 검찰 간부는 4조원대의 다단계 사기를 벌이고 중국으로 도피했다 지난해 12월 사망한 것으로 알려진 조희팔의 측근으로부터 2억 원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하이마트를 인수했던 유진그룹 측으로부터도 차명계좌를 통해 6억 원을 받은 정황도 포착됐다. 해당 검사는 "가정 사정 때문에 친구와 후배 돈을 빌린 것일 뿐 대가성은 없다"고 해명했다고 한다. 사실 여부는 조만간 밝혀지겠지만 연이은 검찰 비리 의혹 소식을 접하는 국민들의 시선은 싸늘하다. 이른바 '스폰서 검사'와 '그랜저 검사', '벤츠 여검사' 사건이 터진 지 얼마나 됐다고 또다시 검찰 간부의 추문이 불거져 국민들을 실망시키냐는 것이다.
혐의가 사실로 드러날 경우 검찰에 미치는 파장은 가늠하기조차 어려워 보인다. 검찰개혁이 대선정국의 이슈로 등장한 상황에서 불에 기름을 끼얹는 격이나 다름없다. 대선 후보들은 대검 중수부 폐지, 공직자비리수사처 신설, 특별감찰제 및 상설특검 설치 등 강도 높은 개혁 방안을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다. 검찰은 이런 개혁 방안에 "검찰을 무력화하는 조치"라며 반발했지만 이젠 그럴 명분조차 사라졌다.
도덕성과 정직성을 생명으로 해야 할 검사가 사건 관련자들로부터 금품을 받는 상황에서 무슨 얼굴로 개혁을 거부할 수 있을 것인가. 검찰 일각에서는 검경수사권 조정과 관련해 경찰의 의도를 의심하는 시각이 있으나 그런 식으로 물타기 할 일이 아니라는 걸 분명히 알아야 한다. 검찰 내부적으로 신속한 조사를 벌여 진상을 있는 그대로 밝히는 게 우선이다.
민간인 불법사찰 사건과 내곡동 사저부지 매입 의혹 사건 등에서 보듯이 검찰의 정권 편향적인 부실ㆍ봐주기 수사로 국민의 신뢰는 바닥에 떨어졌다. 비리 의혹은 끊이지 않고 고질화된 특권의식과 집단이기주의도 고쳐지지 않고 있다. 검찰총장 등 검찰 수뇌부는 왜 검찰이 국민들로부터 믿음을 얻지 못하는지 냉철히 돌아보기 바란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