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승장구하던 현대ㆍ기아차의 발목을 잡은 연비과장 논란은 미국 내에서 강화되고 있는 보호주의와 맥을 같이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이번에 현대ㆍ기아차로 하여금 연비 과장을 시인하고 피해보상 및 사과결정까지 내리게 만든 곳은 미국 소비자단체인 ‘컨슈머 워치독(Consumer Watchdog)’이다. 이 단체는 지난 1월부터 연비문제를 제기했고 7월엔 소송까지 제기했으며, 이로 인해 결국 미 환경보호청이 현대ㆍ기아차에 대해 연비오류정정을 명령하게 된 것이다.
지난 1985년 설립된 컨슈머 워치독은 미국에서 가장 급진적인 진보ㆍ소비자 운동단체로 알려져 있다. 글로벌 거대 기업과 정치인들을 상대로 소비자 피해 방지를 위한 사회운동을 벌이고 있다. 미국에 진출한 국내 업체 관계자는 “컨슈머 워치독은 기업이나 정치인의 단점을 파고 들어 스스로 잘못을 인정할 때까지 집단소송을 제기하는 등 집요하고 끈질기게 물고 늘어지는 것으로 유명하다”고 전했다.
하지만 컨슈머 워치독이 소비자 보호라는 본래의 목적 보다는 자국산업을 대변하는 역할을 주로 하고 있다는 견해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실제 컨슈머 워치독은 그간 유독 일본 및 한국 자동차 메이커를 겨냥해 연비 효율 논란을 제기해 왔다. 현대ㆍ기아차에 앞서 일본의 혼다 시빅 하이브리드의 효율도 과장됐다는 주장을 펼쳐 결국 배상을 이끌어내기도 했다.
앞서 컨슈머 워치독은 지난 2009년 미국자동차회사인 제네럴모터스(GM)가 파산했을 때 미국차 구매를 적극 주장한 바 있다. GM 회생을 위해 미국인의 세금이 투입된 만큼 GM차를 많이 사는 게 곧‘미국을 위한 일’이라는 논리였다. 당시 특정 국가 브랜드를 지목하지는 않았지만, 당시 일본차와 한국차가 미국차에 비해 높은 신장세를 보이고 있던 만큼 견제 의도가 있었다는 해석도 무리가 아니라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지난 2009년 일본 도요타의 리콜 문제가 터졌을 때도 미국 산업 보호주의가 하나의 배경이 됐다”며“이번의 연비 공세도 갈수록 시장지배력을 높여가는 현대ㆍ기아차에 대한 견제와 이를 통해 미국 자동차 산업을 보호하려는 의도가 깔려있는 것으로 의심된다”고 말했다.
유인호기자 yih@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